철원·포천·연천 ‘통일시’로 통합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통일시대 수도를 지향한다. 한반도의 중심지라는 지정학적인 중요성에도 국가안보와 수도권 과밀 억제라는 이유로 개발에서 소외된 강원도 철원군과 경기도 포천시·연천군 얘기다.

 이들 3개 시·군 사회단체와 대학 인사들이 세 자치단체의 통합에 본격 나섰다. 가칭 ‘통일시’를 만들어 장차 통일수도로 발전시키자는 것이다. 이들은 21일 포천 대진대에서 열리는 통일수도 건설을 위한 포천·연천·철원 통합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 출범식과 토론회를 계기로 여론 조성과 정책대안 제시, 대정부 접촉 등 시·군 통합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이들이 통합을 추진하게 된 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낙후된 게 가장 큰 이유다. 이들은 포천시와 연천군이 낙후 지역임에도 규제가 많은 수도권으로 분류돼 지역경제가 침체됐고, 철원도 접경지로 강원도의 변방에 있어 발전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철원군에서는 한때 경기도 편입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더 이상 규제에 얽매여 낙후될 수만은 없다는 지역적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들이 통합을 구상한 것은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한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이 계기가 됐다. 경기도 파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권, 강원도 고성의 동부권에 맞서 지난 2월 ‘DMZ 세계평화공원 중부권 유치 공동위원회’가 발족되면서 통합 논의가 시작됐다.

 추진위는 시·도 경계를 넘어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지방 분권 및 지방 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이 2017년까지의 한시법이라는 점을 감안해 로드맵에 따라 통합을 추진할 방침이다. 1단계로 통일 이슈를 선점해 세계평화공원을 유치하고, 2단계로 통합을 이뤄 통일시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세계평화공원에 대한 남북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순서를 바꿔 먼저 통합해 지역세를 키운 뒤 공원을 유치할 계획이다. 이후 3단계로 남북평화산업단지 조성, 남북교류 거점 확보에 이에 특별법 제정에 의한 통일수도로 지정하도록 했다.

 추진위는 통합 ‘통일시’를 경기도가 아닌 강원도 소속으로 할 계획이다. 통합 후 곧바로 통일수도로 갈 수 없는 상황에서 통합 목적인 지역 발전을 추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규제가 많은 수도권보다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강원도 소속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추진위는 수도권에서 벗어나면 지방 이전 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은 물론 지방투자 촉진 보조금, 외국에서 국내 유턴 기업에 대한 지원, 지방대 지원 등 각종 혜택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수도권 규제에서 벗어날 경우 서울과의 거리가 45㎞ 정도여서 당진(98㎞), 원주(109㎞) 등보다 투자 여건이 좋다는 게 추진위의 생각이다.

 김정완 추진위 상임대표(대진대 행정학과)는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제2의 개성공단과 남북교류 전진 기지는 물론 통일수도 조성도 검토할 수 있는데 최적지가 바로 이 지역”이라며 “통일시 출범을 위해 주민의 뜻과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이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