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정당이 내건「여성정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숫자상으로는 총유권자의 절반이 넘으면서도(50·6%)아직까지는 각 정당으로부터 이렇다할 정책적 배려를 받지 못하고 정치적 소외집단으로 머물러온 것이 한국의 여성유권자들.
그러나 세계적인 여성 해방운동의 여파,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역할의 증대 등의 영향으로 이번 11대 국회의원 선거(25일)를 앞두고 대부분의 정당은 공약 속에 여성 표를 의식한 몇 가지 여성정책을 포함하고 있어 관심을 모은다.
여성 표를 겨냥한 주요 정당들의 여성정책은 정부안에 여성지위향상위원회를 두어 모든 형태의 여성차별의 벽을 헐고, 근로여성의 복지를 위한 탁아소 등의 시설을 확충한다는 등으로 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각 정당이 내세운 여성정책 중 그 내용이 풍부하고 다채롭기로는 민정당이 으뜸. 김현자(전 대한YWCA부회장) 김행자(전 이대교수) 이경숙(전 숙대교수)씨 등 사회단체 활동과 대학교단에서 나름대로 여성의 의식화에 힘써온 여성들을 전국구후보에 7명, 지역구에 김정례씨 1명을 배정했다.
주요정책은 모두 12항목으로 작은 책자로 만들어져 소개되고 있다. 그중 중요한 것으로 김현자씨(민정당정책위원)는 ▲정부조직 안에 『여성지위 향상위원회』설치(상설기구) ▲수립된 정책을 수행할 『한국 여성자원 개발원』설치 ▲여성 행정기구의 승격 및 기능 강화 등을 꼽는다.
여성지위 향상 위원회는 한국 여성정책을 수립·건의·조정하는 상설기구로 운영케 한다는 것. 한국 여성자원 개발원은 여성문제 조사연구(통계 등), 국제협력, 고급 여성인력의 교육 및 훈련 등 3가지 기능을 맡도록 할 것이라고 한다. 그밖에 여성고용 사업장 복지시설 의무화, 가족법 개정보완 등을 공약 속에 포함하고있다.
민한당은 변호사로 활약하면서 법률구조 활동을 해온 변호사 황산성씨(민한당 인권옹호위원장)를 비롯하여 4명의여성을 전국구 후보로 배정했다. 황씨가 밝힌 민한당 여성정책은 ▲정부 내에 근로여성 복지 향상 위원회설치(여성감독관제실시) ▲당내의 인권옹호 위원회를 통한 여성권익 옹호 ▲남북한 여성교류 등. 그밖에 여성을 대상으로 한 민주정치의 생활화「캠페인」도 포함하고있다.
민사당은 한국최초의 여성외교관(UN주재)을 거쳐 여성단체 활동을 통해 여성의 의식화에 힘써온 홍숙자씨(전동국대교수)를 전국구후보로 배정했다. 지역구에도 1명을 배정했다.
홍씨(민사당여성위원회 위원장)가 밝힌 민사당여성정책은 ▲남녀취업의 기회균등 ▲남녀동일 노동, 동일 임금제 수립 ▲직장에서의 기혼여성차별 철폐 ▲여성문제 전담 정부기구 설치(상설기구) 등.
특히 여성문제 전담 정부기구는 정책입안과 집행을 스스로 할 수 있게 독립된 예산과 인원을 가진 기구로 설치할 것이라고 홍씨는 강조한다.
국민당은 대한 적십자사에서 활동하다 유정회 의원을 지낸 윤여훈씨(국민당여성분과 위원장)를 전국구 후보로, 현기순씨(전여성저축회장·전유정회의원)를 지역구후보로 배정했다.
국민당 여성정책은 ▲국무총리직속기관으로 여성문제 전담기구 설치▲여성인력「센서스」실시(여성정책의 새로운 방향모색을 위해) ▲모자보건사업기관의 전국적인 확충 등.
그밖에도 국민당은 직장여성을 위한 탁아시설 확충, 사회각분야에서 여성에 대한 수용태세를 갖추기 위한 분위기 조성 등도 공약 속에 넣고있다.
한편 여성후보를 내지 않은 신정당은 국가기관 등 공공기관직원에 일정비율의 여성채용을 의무화하겠다는 여성정책을 발표, 눈길을 모으고 있다. <박금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