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동·권모술수의 정치는 불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전두환 대통령은 22일『오늘의 정치활동 재개는 단순히 어떤 금지가 해제된다는 의미를 넘어 새로운 정치의 시발이라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말하고『새롭게 전개될 제5공화국의 정치상은 오늘부터 우리 정치인들이 어떤 자세를 가지고 어떤 행동을 해 가느냐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전 대통령은 이날「정치활동 재개에 즈음한 특별담화」를 통해『지난날 우리를 분노하게 했던 정치 부패와 정치혼란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재현되어서는 안되겠다』고 못박고 『정치 부패와 정치혼란은 국민적 명령에 의해 영원히 금지되었다는 인식을 너나없이 가져야 하겠으며 오늘부터 시작되는 정치는 국리민복을 지향하는 정치·도덕적으로 부끄러움이 없는 정치라야 하며 선동과 권모술수를 위주로 하는 정치는 전 국민이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전 대통령은『우리는 지금 구 정치와 새 정치의 분수령에 서있다』고 규정,『정치활동을 시작하는 오늘의 자세와 방향에 약간의 오차만 생겨도 기대와는 수천 수만km의 거리가 있는 정치를 초래할 위험성이 없지 않은 것』이라고 경고했다.
담화 요지는 다음과 같다.
『본인은 그동안 중지되어왔던 정치활동을 오늘로써 재개하도록 하였다.
이번 조치는 예정을 앞당긴 것이다. 이것은 국민 앞에 공약한 민주화 일정을 가급적 하루라도 빨리 실천에 옮겨야겠다는 정부의 결의를 반영하고 있다. 마침 새 정령의 기틀이 될 정당법개정이 훌륭하게 마무리되고 새 헌법 부칙에 의한 정치쇄신위원회의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됨으로써 이러한 조치가 가능하게 되었다.
우리는 구 시대의 경험을 통하여 국가관이 뚜렷하지 못하고 도덕적으로 지탄받는 가운데서 이루어진 정치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가를 똑똑히 보았다.
정치를 국가민족을 위한 봉사로 생각하지 않고 사리를 취하는 도구로 여겨온 정치인들이 나라를 어떤 모습으로 이끌어 왔는가를 우리는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민주정치는 국민간의 다양한 의견과 이해의 상충을 조화시켜 중지로 이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국민의 동질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 시대의 정치는 국민의 동질성 증진에 공헌하기는커녕 오히려 국민간의 분열을 부채질함으로써 귀중한 국가적 정력을 분산시키는 폐해를 낳았다.
특히 10·26사태 이후 반년간에 걸쳐 빚어졌던 격심한 정치적 혼란은 국력소모의 단계를 넘어 국가의 존립 그 자체에 대한 치명적인 위협 요소로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국가 민족의 번용과 행복을 위해 존재해야 할 정치가 역으로 국가민족의 파멸과 불행을 이끄는 촉매제로 전락하는 모습을 많은 국민들은 개탄의 눈으로 지켜보았다.
정치 부패는 모든 부패의 근원이며 정치혼란은 모든 혼란의 원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정치활동의 재개가 정치부패의 재개나 정치혼란의 재개로 오해되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하겠다.
새 정치의 전개에는 국민 여러분의 슬기로운 판단과 확고한 결단이 무엇보다도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국민이 어떤 사람들을 정치인으로 선택하는가에 따라 새 정치의 모습이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오늘의 정치활동 허용조치는 바로 새 정치를 창조하는 관문으로서 모두가 각오를 새로 이 하고 전진을 다짐해야 할 시점이라고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