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서 왔다고 입국 거부 주장 … 너무 과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탄자니아는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 발병 지역과 수천㎞(3000㎞) 떨어진 곳인데… 왜 걱정을 하죠?”

 4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2차 차세대 여성 글로벌 파트너십 세계대회’ 개회식. 덕성여대가 유엔 여성기구(UN Women)와 함께 주최한 이 행사에 참석한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대학교 학생 잠와타 므웨니(22·여)는 에볼라 바이러스 전파를 걱정하는 한국인들의 반응에 대해 이같이 반문했다.

 그는 “본국과 한국 공항에서 검역 등 의료적 절차를 철저히 거쳤는데 무슨 문제가 되느냐”고 덧붙였다. 같은 대학에서 온 니마 무누오(20·여)는 “정작 본국에서도 에볼라 바이러스를 걱정하는 사람이 거의 없는데 아프리카에서 왔다는 이유만으로 입국 거부를 주장하는 건 너무 과한 반응인 것 같다”고 말했다.

 덕성여대는 아프리카 지역 학생 30여 명이 참가하는 이번 대회를 앞두고 국내에서 개최 반대 청원운동까지 일자 고심했으나 결국 개회식을 정상 진행했다. 행사에는 케냐·에티오피아·카메룬 등 아프리카 9개국에서 온 대학생 28명이 참석했다.

 3일 밤 늦게 도착했음에도 이날 오전 일찍 개회식장에 도착한 이들 대학생은 다소 들뜬 모습이었다. 같은 나라 출신들끼리 모여 앉아 기념사진을 찍기도 했다. 국내 취재진이 자신들을 집중적으로 촬영하자 불쾌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대학에 재학 중인 헬리나 스티피노스(22·여)는 “카메라가 계속 우리들만 찍으니 무슨 잘못이라도 한 기분”이라고 말했다.

 이날 덕성여대 측은 기자회견을 열고 에볼라 바이러스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홍승용 덕성여대 총장은 “인터넷과 SNS상에서 떠돌고 있는 허위사실들로 인해 행사의 취지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며 “감염 위험이 없게 철저히 준비했으니 안심해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 총장은 “아프리카 학생들은 물론 국제사회도 이번 사태에 대한 대한민국과 덕성여대의 조치에 주목하고 있다”고 대회 진행 이유를 설명했다. 허인섭 대회협력처장도 “1년에 아프리카에서 입국하는 사람 수가 수천 명에 이르는데 작은 학교 하나가 감정적 불안의 타깃이 됐다”며 “발병 국가도 아닌 나라 국민의 입국조차 거부하는 경우는 전 세계적으로 아무데도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개회식에는 아시아·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전 세계 13개 국가에서 34명의 패널, 25개 국가에서 135명의 학생이 참가했다. 덕성여대 재학생 100여 명이 당초 대회 참관을 신청했으나 오전까지 30여 명이 참석했다. 주 행사는 오는 15일까지 ‘공감적 봉사, 여성 임파워먼트를 위한 교육’을 주제로 진행된다.

장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