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확보·상품 수출 위한 장기계획|개도국과 기술협력 확대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부는 자원보유 제3국과의 기술협력사업을 확대키로 했다. 이는 우리 기술수준이 개도국에 적합하고 「플랜트」수출 등에 따른 해외에서의 기술공여 압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있다. 20일 과학기술처 관계자는 『우리의 발전 경험과 기술이 개발 도상국에서는 상당히 인정받고 있다』고 전제하고 자원확보·상품수출을 위한 장기 포석으로 새로운 전담 기구와 법적 뒷받침이 연구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방침에 따르면 늘어나는 기술 및 인력 교류에 대비, 「국제기술협력법」이라는 전담 부서와 「해외 기술 협력법」을 새로 제정해 기술 협력을 일원화 하고 항구적인 기술 협려기금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협력법은 앞으로 활발해질 국제간 전문가 파견 및 확보를 위해 특례 규정을 설정하며, 한국인 뿐만 아니라 외국인 두뇌까지도 국내 유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지난해 한국은 총1백93명의 개도국기술연수생을 초청, 훈련시켰으며 9명의 전문가를 해외에 파견한 바 있다.
이처럼 해외기술 협력이 늘어나는 것은 개도국들이 선진국의 고급 기술이 자국의 처지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 한국을「모델」로 삼아 곧 소화가 가능한 우리 기술의 투입을 바라고 있기 때문이다.
한 예로 79년「아프리카」의 「시에라리온」에서는 대통령의 직접 요청으로「디젤」 기관·목공·타자 기기 등 분야에서 5명을 훈련시켰으며, 남미의 「자메이카」에는 산지 농업의 전문가를 파견하기도 했다.
정부가 올해 추진중인 전문가 파견·기술훈련 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가 파견지도>
정부는 과기처와 외무부의 예산 3천3백만원을 들여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등에 기술지도 요원 8명을 파견한다.
「아시아」지역은 태국이 광업을 비룻, 「네팔」의 잠업 지도와 「피지」의 경운기 제조기술을 도와주게 된다. 또 「싱가포르」에는 기술대학 교수인원을 1명 파견하도록 되어있다.
중동은「오만」에 농업용수개발을 위한 기술지도를 공여하고, 「아프리카」 지역은 「우간다」의 비료생산, 「카메룬」의 벼 재배 등 식량문제에 중점을 두기로했다.
중남미에는 「볼리비아」에 지질전문가를 파견, 자원협력을 증진키로 했다.

<초청 기술 훈련>
정부 계획에 의한 초청 훈련은 36개국 64명을 잡고 있다.
이들을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16명 ▲중동=15명 ▲「아프리카」=22명 ▲중남미=11명으로 중동은 「사우디아라비아」 와「쿠웨이트」의 전기·토목·기계분야 훈련생을 가르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 이외에도 지난1월 「하심·야마니」국립과학연구소 부소장이 내한,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기술 협력방안을 협의했으며 KIST가 선정한 7개 과제 중 자국에 맞는 2개를 선정 통보토록 되어있다.
「아시아」 지역은 「싱가포르」의 홍합양식, 인도의 벼재배, 「네팔」의 잠업 등 주로 1차 산업 관련자를 훈련시키며 「아프리카」 는 「우간다」의 연초·「시멘트」, 「케냐」 의 섬유·어업, 「가나」의 경제 기획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인원을 초청한다.

<해외기관 위탁교육>
국제기구를 통한 위탁교육도 작년의 1백26명에서 올해는 1백86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FAO(국제식량농업기구)는 한국을 수리·관개의 모범국가로 지점, 동남아 9개국 2백U명을 3년에걸쳐 훈련시켜줄 것을 요청, 이미 합의를 끝냈다.
이 사업은 한국 측이 훈련과 국내경비를 제공하며 FAO가 장비 등을 지원하도록 되어있다.
이밖에도 AID자금연수생 20명, UN자금 연수생 60명, 기타자금 연수생 46명 등이 우리나라에서 위탁훈련을 받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정부관계자는 『자금의 확보·대상선·정기술 수준 및 분야의 선정 등 합리적이고 효율성 있는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재열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