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가로 쌀 소비 억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의 식량수급정책이 이번 추각수매를 계기로 크게 궤도수정을 했다.
77년 쌀 생산 4천만섬 돌파를 계기로 쌀막걸리 부활, 보리혼식의 무폐지 등 쌀소비 촉진책을 펴왔던 정부는 4천만섬을 넘는 쌀수확에도 국내 수급이 달려 외국산 쌀을 3백 50만섬씩 수입하게된 사태를 맞아 다시 쌀소비 억제책을 펴기로 방침을 바꾸었다.
정부미 방출가를 시장시세에 연동시키겠다는 것과 쌀 최고가격 해제는 가격정책으로 쌀소비를 억제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되며 보리혼식의무화 부활, 쌀막걸리의 폐지조차도 이같은 정책의 반영이다.
농수산부는 쌀과 보리의 균형있는 소비를 유도하기 위해 77년말 이래 사실상 단속을 중단해온 음식업소의 보리혼식을 오는 11월 1일부터 다시 의무화, 강행키로 하는 한편 혼식비율을 과거의 쌀 70% 보리 3O%에서 쌀 80% 보리 20%로 보리혼합비율을 낮추었다.
24일 농수산부에 따르면 혼식의무화는 관광업소를 제외한 모든 요식업소를 대상으로 하되 우선 11월 1일부터 1개월간은 계몽기간으로 설정, 적극 권장하고 12월 1일부터 본격적인 위반업소 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농수산부는 또 학생 도시락에 대해서도 혼식을 강력히 권장키로 하고 이에 대한 협조를 문교부에 요청키로 했다.
그런데 양곡소비추세를 보면 쌀이 77년에 1인당 연간 1백 25.1㎏에서 78년에는 1백 31.7㎏, 79년(상반기 실적기준) 1백 35.9㎏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비해 보리소비는 77년의 28.5㎏에서 78년에는 18.1㎏, 79년에는 14.2㎏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계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