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은「소형」에 투자유도|건설부서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건설부는 일정 평수이상의 대형「아파트」는 분양가를 억제하지 않고 「아파트」건설업자가 자유롭게 경매케하고 이에 따른 초과수익을 소행「아파트」건설에 돌리도록 하는 방안을검토 중이다.
고재일건설부장관은 11일 현재 55개 주택건설지점업자들이 건설하는 「아파트」의 연면적기준 40%이상을 25평 이하 국민주택규모로 짓도록 의무로 부과되어있으나 비싼 대지값에 소형「아파트」로 지으면 수익성이 적어 소형「아파트」건설을 기피하기 때문에 업계가 소형「아파트」를 많이 짓게 하기 위해서 이 같은 방안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고장관은 그러나 45평이상 (전용면적기준)의 「아파트」건축규제를 완화하여 이 같은 방침을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45평이상 대형「아파트」신축이 억제되고 있는 현재 국민주택규모 이상인 25평이상에서 45평까지의「아파트」를 일반 경쟁분양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고장관은 또 40평이상 단독주택, 25평이상 「아파트」건축규제를 내년 봄까지 풀지 않을 방침이고 내년도 공공주택건설은 월 소득 10만∼2O만원의 무주택서민을 위해 13,15,18평의 소형「아파트」건설에 치중하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