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비가 비생산적 비용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자본제경제는 왕성한 기업활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왕성한 기업활동은 곧 제품의 원활한 판매에 의해 이루어진다.
원활한 판매활동은 주로 광고라는 수단을 통해 실현된다.
자본제 경제에서 광고비가 생산적 경비의 한 항목이란 논거도 바로 이점에 있다.
그런데도 광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결여되어, 광고비를 일종의 소비조장적 낭비라고 여기는 경향이 아직도 우리 사회에 남아있는 것은 어찌된 셈인가.
자본제경제의 역사가 일천한 탓일까. 재무부가 기업의 광고·선전비지출을 규제하겠다고 나오는 것이 그하나의 예증이다.
재무부는 광고비의 과다지출이 제품가격상승의 요인이 될뿐만 아니라 기업이 이것을 변태처리할 우려가 있기때문에 비과세한도를 세법으로 규정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상은 부분적으로 드러난 일부 사상의 부정적인 측면에만 집착한나머지 그 본질적 측면을 보지 못하는 본말전도를 저지르는 것이다.
우선광고·의전비가 제품원가중 어느 정도룰 차지하고 있는가를 계산이나 해보았는지 당국자에게 묻지 않을 수 없다.
사치성 소비제품의 경우에서 조차 광고비의 비율은 대부분 총매상고의 7%미만이요, 더구나 근년에 와서 그 비율은 더욱더 낮아지고 있는 것이 업계의 실태다.
또 기업경비의 변태지출을 비용항목마다 규제한다는 방식이 통용된다면, 기업의 경비지츨세목을 일일이 관장한다는 논리와 다를 것이 없지 않은가.
무엇보다도 광고비 규제정책의 본질적인 문제는, 광고비를 비생산적인 경비요, 낭비를 부채질한다고 보는 전근대적인 발상에 있다.
앞서 지적한 바와같이 자본제경제는 기업의 자유경쟁을 원리로 하고있고, 기업의 경쟁은 우수한 상품을 생산하여 이의 판매를 극대화하는데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소비자는 기업의 판매촉진책의 대종인 광고정보 속에서 좋은 상품을 선택하게 되며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보면 불량상품은 이런 과정을 통해 자연히 도태당하게 되는 것이다.
자본제경제의 이같은 순환과정을 외면하고 광고활동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는 광고규제방안은 결코 현명한 방안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조금 눈을 밖으로 돌린다면 우리의 수출은 상품을 소개하는 기법이 미숙하여 「제값받기」를 저해하는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고 한다.
광고기법이 세련되지 못했다는 것은 바꾸어 말해서 국내 광고 역시 아직 세계수준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것을 말한다.
오히려 광고의 영역을 보다 넓히고 광고의 세련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이 아쉬운 형편인 것이다.
더우기 요즘처럼 기업이 불경기를겪고 있을 때는 활발한 광고수단을 동원하여 판매를 늘림으로써 불황극복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모두가 새삼 광고에 대한 올바른견해를 가져야할 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