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보다 심화교재 풀이로 기초부터 탄탄히 다지세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0면

하이스트 목동본원에서 만난 신민경 원장은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수학 공부 습관을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진 기자

“우리 아이가 ‘수포자’인 것 같아서 걱정이에요.” 수학 포기자를 줄여 부르는 ‘수포자’란 말이 생겼을 정도로 많은 학생이 어려워하는 과목이 수학이다. 초등생부터 중·고교생까지 학년을 불문하고 수학을 매우 부담스러워한다. 초등생 때 이를 극복하고 중·고교에 가서도 좋은 성적을 유지하는 방법은 없을까. 하이스트 목동본원 초등관 신민경 원장을 만나 초등생을 위한 수학 공부법을 들었다.

-수학을 힘들어하는데 어떻게 지도해야 하나.

“처음부터 수학을 못하는 학생은 없다. 모든 아이는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수학은 답을 꼭 내야 하는 과목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다. 답은 틀렸더라도 생각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이거나 칭찬할 부분이 있다면 그 능력을 최대한 끌어 올려줘야 한다. 초등생, 특히 저학년은 옆에서 함께 하는 사람의 노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이가 수학을 어려워한다고 포기하게 내버려두기보다는 칭찬하면서 이끌어주는 자세가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동기부여다. ‘잘 할 수 있다’ ‘잘 하고 있다’라는 격려의 말은 아이들의 의지를 다질 수 있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수학 문제를 틀렸을 때 왜 틀렸냐고 따지기보다는 차근차근 설명해주면 아이는 어려운 문제도 쉽게 풀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중·고교에 진학해 ‘수포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초등생에게 추천하는 수학 학습법이 있다면.

“교과학습의 심화가 최우선이다. 초등생이 배우는 심화문제는 고교 교과과정에도 나올 정도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학년에 맞는 심화교재를 2~3권 완벽하게 풀어볼 것을 추천한다. 선행학습보다 현행과정의 심화가 중요하다. 심화학습을 할 때에는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풀이방법에 대한 토론이 필요하다. 발표와 토론을 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엔 반복학습을 해야 한다. 한 권의 책을 여러 번 보면서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수학을 비롯한 모든 학습의 기초는 초등생 때 만들어지고 이 기초가 잘 유지되면 중·고교에 가서도 빠르고 탄탄하게 성장할 수 있다.”

-최근 특목고 입학생을 많이 배출했다고 들었다. 비결이 뭔가.

“하이스트 목동본원에서 2006~13년 특목고반 원장을 맡았고 현재는 초등관 원장이다. 2013학년도에 민족사관고(이하 민사고)에 13명이 지원해 전원 입학했다. 하나고·상산고·용인외고 등 특목고에 총 39명이 들어갔다. 올해에도 13명이 민사고에 합격했고 총 34명의 특목고 입학생을 배출했다. 이곳에서 처음 가르쳤던 초등 6학년이 지금 대학 2학년이다. 수 년간 많은 학생을 지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학생들의 수준을 판단하고 향후 학습계획과 발전 가능성을 점검한다. 칭찬으로 아이들을 성장시켰던 점이 비결인 것 같다.”

-특목고 진학을 꿈꾸는 학생이나 학부모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특목고는 체계화된 준비를 하고 꼭 가겠다는 목표의식만 있다면 도전해볼 만한 학교다. 목표는 일찍 잡을수록 좋다. 특목고 입학생 대다수가 초등생 때부터 특목고에 가겠다는 의지를 갖고 준비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과 심화 능력이다. 영어와 수학 심화학습이 가장 중요한데 이는 단기간에 되는 것이 아니다. 꾸준한 노력과 시간 투자가 있어야만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중 3학년 때 특목고 진학 준비를 시작하면 합격하기 쉽지 않다. 특히 수학은 초등 3학년 때부터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초등생 때부터 학습 관리를 완벽하게 한다면 합격 가능성은 높아진다.”

-앞으로 계획이 있다면.

“학생들의 실력을 제대로 키워 가장 필요한 학습을 제공하는 학생 중심의 학원 모델을 정착시킬 계획이다. 어렵게만 생각하던 초등생이 중·고교에 진학해서도 수학을 즐기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기초를 다져주고 싶다. 수학에 흥미를 붙여주고 능력을 길러줘 수학시간에 힘들어하지 않고 즐겁게 웃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생들로 성장시키는 것이 목표다.”

신민경 원장은 … 신 원장은 하이스트 목동본원에서 특목고반 원장을 7년여 지낸 뒤 지금은 초등관 원장을 맡고 있다. 그는 고교 입시 지도 경험을 토대로 초등생 학습 프로그램을 만들어 학부모 대상 설명회를 통해 장기 자녀교육 로드맵을 제시한다. 신 원장의 강의는 하이스트 목동본원 초등관(서울 양천구 목동서로 252 국보빌딩)에서 들을 수 있다. 문의 02-2653-0070

한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