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거래 시외반출 부작용 속출|월동 저탄량 확보 어려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지난 7월24일부터 실시된 연탄판매 기록장제도는 실시 한 달만에 출하증의 뒷거래·시외 반출등으로 겨울철 연료비축을 위한 저탄량을 제대로 확보치 못하고있으며 탄의 질이 나빠지고 2중 가격이 형성되는 등 갖가지 부작용을 빚고있다.
이는 판매소에 대한 연탄의 절대 공급량이 부족하고 판매실적을 무시한 획일적인 배정 때문에 빚어진 것으로 가수요 억제나 연탄의 공평분배등 당초 이 제도가 목적했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서울시연료대책본부의 집계에 따르면 27일 현재서울의 저탄량은 62만9천9백48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백8만1천8백t보다 43%나 부족한 것으로 이는 사실상의 배급제가 시민들을 불안케해 가수요를 부채질 실제 소요량보다 많은 탄을 비축케 했으며 연탄생산량이 모자라는 서울근교도시로 연탄이 밀 반출 됐기 때문에 빚어진 것이다.
특히 이 기간 서울의원 탄 반입량은 1일평균 1만7천2백56t (화차 4백12량)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만6천6백90t (3백95량) 보다 5백66t이 많아 이 제도가 가수요와 밀 반출을 막지 못했음을 뒷 받침하고 있다.
이 같이 연탄판매기록제가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 이유는 당국이 저탄량 증대를 위해 연탄 출하량을 너무 줄여 실제공급량이 절대 수요량에 못 미치기 때문이며(소요량의 30%정도출하) 이 때문에 연탄 1천장 짜리 출하중이 6천원씩의「프리미엄」까지 붙어 뒷거래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판매실적을 무시한 획일적인 연탄배정 때문에 가정집이 많은 변두리 지역은 연탄공급량이 수요량 보다 많아 남아도는 연탄을 시내 중심가 연탄부족지역이나 음식점·다방 등 요식업소에 1장당 3∼6원씩 값을 올려 팔고 있으며 의정부·안양 등 시외 연탄 부족도시에 밀반출되고 있는 실정.
이 같은 연탄의 절대공급량 부족은 제탄업자들이 부정 유출하는 1일 1백 만개의 연탄으로 보충되고 있으며 일선집행관서인 동사무소는 시에서 배정 받은 일정량의 출하증을 일부 판매소에 정실 배당해 판매상들이 서울시에 시정을 요구하는 항의진정을 빚기도 했다.
한편 이「카드」제는 물량수급에만 치중, 질의 관리를 소홀히 했기 때문에 연탄의 연소시간이 종전보다 30∼50%나 짧아지고 잘 꺼지는 등 연탄 질이 크게 떨어져 소비자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이 때문에 가정의 연탄소비량이 한 아궁이 당 1일2개에서 3개로 1개가 늘어나 소비자들을 골탕먹이고 있다.
이 밖에도 연탄판매장들은 일손부족을 이유로 소량배달을 기피, 소비자들을 괴롭히고 있으며 다방·요정등 유흥접객업소와 사무실의 연탄사용금지조치도 단속법규가 없어 실효를 커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