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렷한 목적·계획 없는 여자 중-고생의 여가활동|전주교대 박봉룡 교수, 지방학생 대상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우리나라의 여자·중·고등 학생들은 뚜렷한 목적이나 계획 없이 여가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전북·전주·군산·이리의·여자 중·고생 2백여 명을 대상으로 전주교대 체육과의 박봉룡 교수가 지난 4월∼7월까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여학생들이 학교에서의 수업을 마친 후 집에서 가사를 돌본다거나 숙제 정도를 하는 것으로 여가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다.
「귀가 후 무엇을 하는가」라는 질문에 중학생의 34%가 가사를 돌본다」, 26%가「숙제를 한다」,
15%가「세수나 목욕을 한다」고 응답하고 있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가사를 돌본다」는 응답자가 4%인데 비해 25%가「신문·TV를 본다」고 응답해 사회참여를 중학생보다 많이 하고 있음이 드러났지만 특별한 계획 없이 여가를 보내고 있음은 마찬가지였다.
평일보다는 특별한 계획을 짜 생활할 수 있는 토요일 오후에도 역시 반 이상의 학생들이 계획 없이 여가를 보내고 있다. 토요일 오후에 중학생의 78%가 「가사를 돌본다」고 응답하고 독서·교외산책·영화감상·운동이 각기 12%·8%·6%·5%의 비율을 보인다.
그러나 많은 여학생들이 여가시간 활용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조건이 허락된다면「여행을 하겠다」「등산·낚시를 하겠다」「그림을 그리겠다」는 여학생이 50%를 넘고 있다.
중학생의 경우 27%가 여행을, 13%가 등산이나 낚시를, 5%가 미술을 하고 싶어하며 고등학생의 경우 42%가 여행을, 18%가 음악감상을, 12%가 미술을 하고 싶어한다.
한편 여학생들은 자신들의 여가 활동을 방해하는 이유로 시간이 없고 숙제를 해야 되며 경제사정과 시설이 부족하다는 점 등을 꼽고 있다. 중학생의 37%가 시간부족을, 14%가 환경과 시설을, 8%가 비용을 여가활동의 방해 요인으로 지적한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44%가 시간부족을, 22%가 비용을 방해요인으로 꼽고 있어 고등학생일수록 입시준비 때문에 여가를 즐기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고등학생들의 여가시간을 되도록 줄이고 학업에만 전념하도록 신경을 쓰는 부모들이 있기는 하지만 80%정도의 부모들이 중-고생들의 여가시간 활용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중학생의 80%가 부모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대답했으며, 3%가 「무관심」, 17%가「그저 그렇다」고 대답했다.
여가를 함께 보내고 싶은 상대자로 33%가 선생님이나 선배를, 21%가 친구를, 19%가 이성친구를 꼽고 있다.
여자 중·고생들이 건전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여가 선용에 관한 지도가 교과지도에 못지 않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이 조사는 결론지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