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진출하는 일본기업들 현지 경제발전·복지향상 주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동경=박동순특파원】해외진출일본기업에 대한 현지의 강한 반발을 완화하기 위해 일본재계는 공동근신운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일본경단연·상의·무협·경영자단체연맹·경제동우회 등 재계5단체는 최근 「개발도상국에 대한 투자행동지침」을 발표, 앞으로 『기업의 해외진출은 이 지침에 따라 수입국의 경제발전과 복지향상에 특히 유의할 것』을 다짐했다. 재계5단체는 각 기업이 이 지침을 준수하는가를 자주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투자간담회」를 설치키로 하고 정부에서도 대외투자행정면에서 이를 반영해 주도록 요청했다.
투자간담회는 민간의 자주적인 투자조정기구로서 해외에서의 분쟁조정뿐만 아니라 기업의 해외진출에 대한 사전「체크」를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본재계의 움직임은 최근 들어 일본기업의 매점매석, 국제「카르텔」, 또 해외에서의 지나친 상행위 때문에 현지에서 반일「무드」가 위험할 정도로 높아진데 대한 배려로 풀이된다.
일본재계5단체가 발표한 투자지침은 ①일본인과 현지 채용자와의 차별대우를 않는다. ②현지인의 유학·기술연수의 기회를 넓힌다. ③현지회사에 대폭권한을 위임한다. ④투자이윤을 현지에 환원시키기 위해 재투자를 적극 늘린다는 것 등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