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의원들도 盧 북핵해법 비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북한 전투기의 미 정찰기 근접비행, 미 폭격기의 괌 전진배치 등 한반도 주변 정세가 긴박해지면서 새 정부의 북한 핵문제 해법에 대한 정치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영국 더 타임스지와의 회견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미국은 과도한 행동에 나서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 데 대해 한나라당뿐 아니라 민주당 의원들까지 비판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김영일(金榮馹)사무총장은 6일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미국이 북핵 보유를 용인하기로 했다는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는 대한민국에 대한 이별선언이나 마찬가지"라며 "우리 정부의 미온적인 태도 등에 대한 미국의 노골적인 불만 표출이란 점에서 盧대통령은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규택(李揆澤)총무는 "북한 핵문제로 북.미관계, 한.미관계가 껄끄러운 상태에서 나종일 국가안보보좌관이 북한 인사와 비밀리에 접촉한 것은 국민적 의혹을 살 수 있다"고 했다.

황우여(黃祐呂)정책위부의장은 더 타임스지 회견 내용에 대해 "군사동맹관계인 한.미 양국간 문제에 대해 대통령이 미국 측과 견해차를 드러낸 데 대해 국민이 우려하고 있으며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서도 비판적 시각이 늘고 있다. 지난달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함승희(咸承熙)의원은 "북핵과 관련해 대통령의 현재 입장이 계속되면 국민이 더 불안해할 수 있다"며 "미국과 견해가 다른 점을 미 당국자들에게 말하는 건 몰라도 공개적으로 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김성순(金聖順)의원은 "미국의 북한 전문가를 만났더니 전쟁에 가까워 가는 상황을 정작 한국에선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하더라"며 "이제 보수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난 4일 민주당 의원총회에선 추미애(秋美愛)의원이 "미국의 무력 사용 가능성이 큰 만큼 전쟁은 안 된다는 성명이라도 내자"고 했다가 咸의원 등이 "원인은 북한이 제공했는데 무슨 말이냐"고 해 제동이 걸렸다.

박승희.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