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공회담탁상과 한국문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워싱턴=김영희특파원】「키신저」보좌관이 30일 미·중공정상회담의 주제는 양국간의 문제가 되고 제3국에 관한 합의나 흥정은 없을 것이라고 여러 차례 말한 점으로 미루어 한국문제에 관해서 어떤 결정적인 토의가 있을지 의문이다.
그러나 「키신저」는 월남·대만·일본·한국 등 주변국가문제에 관한 토의의 가능성은 남겨놓고 있다. 즉 그는 두 지도자의 회담이 확정된 의제에 따라 제한 받는 것이 아니라 「자유궤도의 토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요크·타임스」의 「제임즈·노튼」기자는 이 문제에 대해 『그런 형식의 회담이라면 대만의 지위나 동남아분쟁에 관한 토론도 마음놓고 꺼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문제는 한반도의 정세에 관한 것이 미·중공간의 중요한 현안문제와 직결되는가 하는 점인데 관계전문가들과 「업저버」들의 일반적 의견은 중공이 주변국가 문제를 틀림없이 다루려할 것이라는데 일치하고 있다. 미·중공관계의 화해가 논의되기 시작한 직후에 중공은 주한 미군의 완전철수를 포함한 4개 조건을 내세웠다.
「레스턴」과의 대담에서 주은래는 한국문제를 거론했다. 한국문제에 대한 중공의 날카로운 관심은 최근 북괴에 대한 중공의 연화된 언조에서도 볼 수 있다. 여러가지 점으로 보아 중공이 한반도의 대립상태를 어느 일면에서 타결시키려는 눈치인 것 같다.
지난 10월 「워싱턴·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주은래가 한국의 평화협정에 관한 회의를 제안할는지도 모른다. 또 최근 이 신문에 보도된 「카노」기자의 기사에 의하면 미국무성고위관리이며 극동문제전문가인 「모턴·아브라모비츠」씨는 「닉슨」의 중공방문 뒤 한국문제해결을 위한 동북아회의가 소집될는지도 모른다고 그의 연구 논문에서 밝혔다.
한반도를 중심으로한 4반세기의 냉전이 지속되는 한 미·중공관계의 완전한 정상화는 불가능하다는 점은 쉽게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아래에서 미·중공지도자들은 한국문제해결에 있어서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불가능한가를 찾아내려고 노력할것이다.
그러나 「키신저」보좌관이 말한바와 같이 양측 수뇌들의 이와 같은 노력은 회담전체가운데 작은 비중밖에 차지하지 못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