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소원'서 엄마 역 맡은 엄지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이준익 감독의 ‘소원’에서 가혹한 일을 겪은 딸의 엄마 역할로 가슴 울리는 연기를 보여준 엄지원. 그는 역할을 위해 화장기 없는 얼굴로 카메라 앞에 섰고 체중을 6? 늘렸다. [사진 전소윤(STUDIO 706)]

영화 ‘소원’(2일 개봉, 이준익 감독)은 아동 성폭력을 다루지만, 화면은 자극적이지 않다. 대신 상처를 치유하고 희망을 향해 나아가는 가족의 모습이 사려 깊게 담겼다.

 엄지원(36)은 이 영화에서 끔찍한 일을 당한 아홉 살 딸 소원(이레)의 엄마 미희를 연기한다. 세상 모든 어미의 심경을 대변한 그 모습에 보는 이의 마음이 먹먹해진다. 그는 “‘소원’은 내 ‘진짜’를 보여 준 첫 번째 영화”라고 힘주어 말한다. 그의 연기를 보면 이 말에 수긍이 간다.

내 연기 인생 대표작 될 수 있을 것

 -처음에는 출연을 고사했다던데.

 “2년 전쯤 출연제안을 받았다. ‘감사하지만 제 실력이 안 된다’고 거절했다. 이 영화는 ‘잘 하는 척 하는 연기’에 그치면 안 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미희의 감정을 견디지 못할 것 같았다.”

 -그런데 왜 수락했나.

 “JTBC 주말극 ‘무자식 상팔자’를 찍을 때, 평소 친분이 있던 배우 송윤아가 전화로 ‘시나리오 보낼 테니 잘 부탁해’ 라고 하더라. 그제야 원래 내게 올 작품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원 아빠 역으로 설경구가 출연한다는 것도 믿음직스러웠다.”

 -자신감이 생긴 건가.

 “그런 건 아니다. 고작 2년 사이에 연기력이 얼마나 많이 늘었겠나. 다만 이토록 가치 있는 이야기를 누군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을 뿐이다. ‘부족하지만 내가 한 번 해볼까?’ 하고 용기를 낸 것이다.”

진짜 맨얼굴 … 화장기는 싫었다

극중 사건이 벌어진 직후에 엄마 미희(엄지원)가 오열하는 장면. [사진 롯데엔터테인먼트]

 -메이크업을 전혀 하지 않았는데.

 “진짜를 보여주고 싶었다. 근사치가 아닌 진짜. 노 메이크업 같은 메이크업, 잘하는 것 같은 연기, 그런 건 싫었다. 다행히 정말 좋은 감독과 배우를 만나서 그 선택에 힘을 얻었다. 나는 완전히 발가벗겨진 기분으로 카메라 앞에 서는데 설경구가 몸을 사리면 힘들었을 것이다. 그런데 설경구는 아예 영화 의상을 입고 출퇴근 하면서 계속 소원 아빠의 삶을 살았다. 정말 고마웠다.”

 -엄지원이라는 배우 대신 미희만 보인다.

 “최고의 칭찬이다. 예전에 ‘너는 뭘 해도 엄지원’이라는 말을 들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맞는 말이었다. 익숙한 습관을 다 버리고 연기하는 것이 어색해서, 내게 익숙한 것들에 적당히 타협하며 연기하던 때가 있었다. ‘소원’은 모든 것을 내려놓은 첫 번째 작품이다. 나의 대표작으로 꼽고 싶다.”

 -가족이 절망을 극복하는 과정이 예쁜 동화나 판타지 같다는 비판도 있다.

 “이 영화가 말하는 위로의 방식이야말로 정답이라고 본다. 사람이 넘어지면 ‘많이 아프지?’하며 붙잡아줘야지 ‘그러게 누가 넘어지래?’라고 쏘아붙이는 건 잘못된 것 아닐까. ‘현실에서는 절대 이렇게 착한 방식으로 타인을 위로할 수 없어’라고 생각하는 건, 사회가 그만큼 건강하지 못하다는 방증 같다. ‘소원’은 마땅하고 옳은 이야기를 따뜻하게 풀어낸 영화다.”

판타지 같다? 이런 위로가 정답 아닐까

 -‘무자식 상팔자’ 역시 배우 엄지원이 달리 보였던 작품이다.

 “내게는 보석 같은 작품이다. 데뷔 후 선배 연기자들과 부대낄 기회 없이 10년을 보냈다. 운 좋게도 좋은 감독, 좋은 배우들과 함께 할 기회는 많았지만 내 연기를 판단할 틈은 없었다. ‘최고는 아니지만 적당한 배우’로 지내왔던 거다. 그러다 ‘무자식 상팔자’를 만났다. 이순재·김해숙·유동근 같은 쟁쟁한 선배들 사이에서 정말 많이 배웠다. 연기학원 다니는 기분이었다. 종영 파티 때 ‘배운 게 많아 출연료를 반납해야겠다’는 농담까지 했을 정도다.” 

이은선 기자

★ 5개 만점, ☆는 ★의 반 개

★★★★(황진미 영화평론가)

분노 일변도의 세상에서 너무 늦지 않게 도착한 감동. 사건을 소비하지 않고 피해자를 보듬으려는 성숙한 시선.

★★★(지용진 기자)

지독한 상처를 받은 아이에게 작은 위로와 희망을 건네듯 차근차근 이야기를 풀어냈다. 보고 나면 마음이 환해진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