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경제성 재검토 단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공업의 지방분산과 지역특화산업을 육성키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입, 조성한 지방공업단지의 공장입주가동실태가 당초 계획의 20.7%에 불과, 공업입지정책 등 공단조성에 대한 경제성이 재평가 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4일 건설부에 의하면 지난 62년부터 지금까지 총4백11억원을 투입, 내륙 10개, 임해 6개의 공업단지(2천2백91만평)를 조성하여 7백89개 공장을 분산, 유치키로 했으나 20일 현재 입주가동중인 공장이 임해단지에 19개 공장(계획 1백55개), 내륙단지에 1백44개 공장(계획 6백34개)밖에 안 되어 유치계획의 20.7%에 지나지 않는 실정이다.
16개 지방공업단지 등 69년에 완공한 대전·원주의 경우 51개 공장을 유치할 계획이었으나 현재 입주 가동중인 공장은 하나도 없으며 비인단지(30억원 투입)는 계획의 차질로 중단상태이고 청주단지는 25개 공장 유치 계획 중 1개만이, 춘천은 21개 계획에 6개 공장이 들어선 정도이다.
이와 같은 공업단지에의 입주 계획차질에 대해 일부에서는 단지선정이 입지조건보다 정치적인 이유로 결정된 경우가 없지 않다는 점과 공장유치계획이 종합적으로 수립되지 못한데 있다고 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