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생필품 유통「미진」얼마나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모든 상품은 생산자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도-산매를 비롯, 복잡한 유통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는 단계마다 일정한 마진(이윤)이 붙기 때문에 유통단계가 적을 수록 소비자는 더 값싸게 상품을 살 수 있는 것. 쌀·사과·와이샤쓰·항생제 등 몇몇 생필품의 유통과정은 어떠하며 중간 마진은 얼마나 되는가를 상의조사에서 알아보면-.

<양 곡>
①자유시장 판매 ②정부관리 ③농협공판 등 세 가지 경로가 있다.
유통되는 양곡의 80%가 자유시장 판매, 15%가 정부관리, 나머지 5%는 농협공판 경로를 통해 유통된다.
전통적 유통경로가 되는 자유시장 유통은 수집상-이출상-위탁상-도매상-산매상의 과정을 거치는데 유통마진이 농협경로보다 높고 특히 쌀은 호남미가 경기미보다 높다.
한편 유통관계별로는 산매상 마진이 5·9%∼6%로 가장 높은 반면 위탁상 마진이 0·9%로 가장 낮다.
산매상 마진이 높은 것은 정선감량, 낮은 자금회전율 그리고 최종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 제 공동에 따른 것이며 농협경로는 자유시장 경로보다 유통 단계가 단조로와 마진 율이 낮다.

<와이샤쓰>
①메이커-직매상-소비자 ②메이커-대리점-산매상-소비자 ③메이커-도매상-산매상-소비자 ④메이커-산매상-소비자의 네 가지 방법이 있다.
전체 유통량의 51·1%는 직매점을 통해 출하되며 32·7%는 산매상에 직접, 그리고 14·6%는 도매상, 1·6%는 대리점을 통해 유통되어 직매점과 산매상이 와이샤쓰 유통의 중추적 기능을 맡고 있다.
유통 단계별별「마진」은 유통형태에 따라 다르나 메이커 도매상-산매상-소비자 형태에서는 도매상 마진이 6·5%, 산매상은 6·5%로 전체 유통「마진」은 19%에 달한다.
와이샤쓰 유통에서는 구입처가 다원화 해 있고 유통규모가 지나치게 영세하며 중소 메이커의 판매조직이 미비하고 서비스가 부족하다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 그 대책으로서는 공동구매 제도의 채택, 중소 메이커의 협동 마키팅 조합결성과 계약 베이스에 의한 거래관습이 조성돼야 한다는 의견.

<사 과>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사과는 98%가 생과 상태로 최종 소비자에게 간다.
생과로 유통될 사과는 산지 위탁상과 산지농협 등의 수집과정을 거쳐 대량소비도시로 유통되는 경로 생산지에서 대도시의 도매시장에 이르는 2대 유통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 중 산지 위탁상을 통한 유통량이 전체의 51%, 산지농협은 29%, 직접 출하는 20%외 비율.
사과는 유통과정에서 싱싱해야 하며 대량으로 집하·중계·분산 돼야 하기 때문에 대 도매시장이 유통의 중추역할을 맡고 있다.
이에 따라 대 도시의 도매가격이 중심이 되어 생산자 수취가격과 소비자지불 가격이 결정되고 있는 실정.
유통비용을 포함한 유통마진은 중간상 마진 3·8%, 산매상이 11·6%로 전체 유통「마진」은 15·4%.

<항생제>
유통경로는 ①메이커-도매상-산매상-소비자 ②메이커-산매상-소비자 ③메이커-대량 소비자의 세 가지-.
이 가운데 메이커-도매상-산매상-소비자형이 주류를 이루는데 메이커의 전체 판매량 중 55%는 도매상, 29%는 직접 산매상을 통해 유통되고 나머지 16%는 병-의원과 직접 거래된다.
유통「마진」은 도매상·산매상을 거치는 주된 유통형태의 경우 도매상「마진」이 8%, 산매상 23·7%로 전체 유통「마진」이 31·7%에 달한다.
특히 산매상「마진」이 크고 또한「메이커」출하 가격 중 광고비의 비중이 높은 것이 의약품 유통「마진」의 특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