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자 vs 양자 … 대통령과 회담 기싸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박근혜 대통령과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만남을 놓고 양측이 형식을 둘러싼 논란만 벌여 회동 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다. 청와대가 전날 여야 원내대표까지 참여하는 5자회담을 제안했지만 민주당이 박 대통령과 양자 회동을 거듭 주장해 교착 상태에 빠졌다.

 김 대표는 서울시청 앞 천막당사에서 노웅래 비서실장이 읽은 입장 발표를 통해 “제1야당 대표의 단독회담 제안에 대해 박 대통령이 사흘 만에 다자회담 제안으로 답한 것을 아쉽게 생각하고 있다”며 “대통령이 현 정국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그에 따른 해법을 진지하게 고민한 결과가 5자회담 역제안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노 실장은 이어 “(2005년 당시) 야당 대표였던 박근혜 대표가 영수회담을 제안하자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의제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영수회담을 하겠다’고 화답했다”며 “만약 노 대통령이 박 대표에게 ‘N분의 1’식으로 다자회담을 역제안했다고 한다면 박 대표는 어떻게 대응했을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청와대가 회담을 제의하는 프로세스나 내용에 대해 너무나 무지하거나, 아니면 무례하거나 둘 중의 하나”라고 주장했다.

 청와대도 물러서지 않았다.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여야 당대표로부터 대통령과의 회담 제의가 있어 대통령께서 회담을 하자고 했는데 이번에도 또 민주당이 거절해 유감스럽다”고 밝혔다고 이정현 홍보수석이 전했다. 김 실장은 이어 “국민을 위해 만나 산적한 현안을 논의하는 게 좋다고 보는데 안타깝다”며 “청와대는 문을 열어놓고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양자회담을 고집하는 반면 청와대는 5자회담 수용을 거듭 촉구하며 팽팽한 기 싸움을 벌이고 있다. 청와대는 현재로선 양자회담 제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의 양자회담 제안 배경에는 당 내부 갈등 해결과 지지층 결집을 위한 포석이 깔려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도 “산적한 현안이 많으므로 대통령과 양당 대표·원내대표가 만나 (5자회담 방식으로) 허심탄회하게 논의했으면 좋겠다”고 거들었다.

 여야 간 대치는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다만 청와대가 “문을 열어놓고 기다릴 것”이라고 여지를 뒀고 민주당 역시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가 제안한 ‘3자 회담’에 대해 “형식과 의전에 구애받지 않는다고 한 만큼, 고려 대상이 될 수 있다”(노 비서실장)고 밝히고 있어 극적 돌파구 마련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신용호·강인식 기자

관련기사
▶ 안철수 "현 정국 與 책임…김무성-권영세 국조 증언해야"
▶ "안철수 존재감이…" '安 최측근' 송호창 발끈한 이유
▶ "박 대통령, 이럴 수는 없다" 바짝 날 세운 김한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