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YTN, 동일 서비스엔 동일 규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이경재(사진) 방송통신위원장은 31일 기자간담회에서 “케이블 TV가운데 YTN은 SO(가정마다 케이블과 컨버터를 설치해주고, 시청료를 징수하는 케이블TV 사업자)로부터 수신료를 받고 있지만 종합편성채널은 받고 있지 않는 등 차이가 있다”며 “동일 서비스에는 동일 규제가 적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뉴스 전문채널인 YTN을 비롯해 JTBC 등 종합편성채널은 모두 SO가 의무적으로 송출해야 하는 채널(의무재송신채널)이지만 SO들은 YTN에만 연간 100억원 정도로 추산되는 수신료를 지급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같은 의무재송신채널인데 종편은 안 된다는 기준은 안 된다”며 “원칙적으로 하면 YTN도 (수신료를) 안 받든가 해야 된다”고도 했다.

  케이블 SO업계에선 그간 “종편의 경우 10번대의 채널을 배정받는 등 특혜가 있는 상황에서 수신료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그러나 이 위원장은 이에 대해 “종편에 대한 초기 3년간의 육성정책은 법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2008년 한국방송협회가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에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 신호 재송신 중단을 요청하면서 시작된 분쟁과 관련해 “국내에 관련 법적 규정이 없어 연말까지 미래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 법과 제도를 만들 생각”이라며 “언론중재위원회와 같은 민간 중재기구를 만드는 방안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태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