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 농촌마을 확 바뀐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대전·광주 등 광역시 변두리 농촌 지역의 생활 환경이 크게 개선된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일반시가 광역시로 승격되면서 광역시 행정구역에 편입됐으나,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상수원보호구역 등으로 지정돼 있어 그동안 각종 개발에서 소외돼 왔다.

17일 농림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정부는 지금까지 도(道)의 면(面)지역에서만 실시해 온 ‘농촌 생활환경 정비사업’을 올해부터는 서울을 제외한 6개 광역시 중 그린벨트가 전체 면적의 50%를 넘는 15개 자치구에서도 시행키로 했다.

이에 따라 대전시의 경우 동·유성·대덕 등 3개구에 구별로 45억원씩 총 1백35억원을 투입,올해부터 2006년까지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비 중 전체의 3분의 2는 정부 및 지자체 예산으로 충당 ^마을기반(도로·상하수도 등)정비 ^생산기반(농로) 확충 ^문화복지시설 신축 등에 쓰인다.나머지 3분의 1은 정부가 융자,주민이 자금을 부담하는 방식으로 주택정비 사업에 투입된다.

융자 조건은 주택신축(또는 전면개량)의 경우 가구당 2천만원 범위에서 연리 5.5%,5년 거치 15년 상환이다.또 부분 개량은 가구당 5백만원 범위에서 연리 4%,3년 거치 7년 상환 조건이다.

현재 개발 계획을 수립중인 유성구의 경우 1백12개 자연부락(상주인구 1만여명)을 대상으로 주택정비(15억원)등 10개 사업에 총 45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구체적 사업 내용을 보면 진잠동 30통,온천 2동 54통등 5개 마을은 상수도관 1㎞를,진잠동 39통등 7개 마을은 하수도(연장 8백40m)를 교체한다.

진잠동 48통,구즉동 탑립마을 등 4개 마을에는 공동주차장(총면적 1천8백㎡)이,신성동 26통등 4개 마을엔 버스승강장이 각각 신설된다.

이밖에 온천1동 18통(유성예식장 옆)에는 인터넷방등 첨단시설을 갖춘 복지회관이,온천 2동9통에는 5천평 넓이의 관광농원이 새로 들어선다.

고성근(高成根) 대전시농정과장은 “대도시 내 농촌지역은 세금·보험료 등 각종 부담은 농촌보다 많은 데도 정부나 지자체로부터의 혜택은 적어 그동안 사실상 ‘사각지대’로 방치돼 왔다”며 “형평성 차원에서 그린벨트 면적이 30%를 넘는 중구와 서구도 사업대상에 포함시켜 주도록 정부에 건의했다”고 말했다.

대전=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