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가루 사건, 만두 파동 때 생각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식약처가 제 2 만두파동을 조장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식약처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맛가루’ 사건에 대해 별다른 대책이나 구체적인 해결책을 내 놓고 있지 않아 업계의 피해를 방조하고, 소비자의 불안감만 키우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식약처는 식품컨트롤타워를 표방하며 청에서 처로 승격해 경찰청과 MOU를 맺었지만 이번 사건에서도 아무런 업무 공조가 이뤄지지 않았다.

맛가루 사건의 발달은 지난 2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밥에 뿌려먹는 ‘맛가루’를 가축 사료로 쓰는 채소를 사용한 혐의(식품위생법 위반)로 식품 가공업체 대표 김모(54)씨와 채소류 가공업체 조모(54)씨 등 4명을 불구속 입건한 바 있다. 폐기처분하거나 가축 사료로 써야 할 채소와 해조류 등을 싼 값에 사들인 다음 건조, 가공한 뒤 맛가루 제조 업체에 납품한 것.

하지만 사건 후 사흘이 지난 현재까지 식약처는 별다른 해결책을 내 놓지 않고 있다.
맛가루는 아이들이 즐겨먹는 먹거리다. 시장 규모는 150억원(국내) 정도고 이중 수입 제품은 50억원에 달한다.

젊은 엄마들이 즐겨찾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파문이 확산되자 대형마트는 지난 3일 매장에 있는 맛가루 제품 대부분을 철수시켰다. 심지어 예전에 구입했던 제품도 소비자가 가져오면 환불해 주고 있다.

이에 제조사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잘못한 업체뿐만 아니라 정직하게 제품을 제조하고 있는 업체까지도 많은 피해를 보고 있는 셈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식약처의 안일한 태도가 만두파동 때와 비슷하다고 말했다.

경찰은 업체명단은 이미 식약처에 넘겨줬으며, 공개 여부는 식약처가 결정할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소비자단체에서도 “식약처는 불량식품을 뿌리 뽑기 위해 경찰과 협력체계를 강화했다고 하는데 실질적인 업무능력은 예전과 달라진 게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단체예방접종, 건강관리업체가 기업과 짜고 싹쓸이 [2013/07/08] 
·치협에 과징금 5억원 판결…반값 임플란트 논쟁 유디치과가 웃었다 [2013/07/08] 
·항응고제 시장 3파전 ‘혼란’ [2013/07/08] 
·대학가 일대 좀비 퍼포먼스로 A형 간염 위험성 알려 [2013/07/08] 
·휴온스, 중앙연구소 이전 완료…연구인력 대거 채용 [2013/07/08] 

배지영 기자 jybae@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