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고교 수업시간 늘리기로 … 정치권에선 수능 필수과목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내년부터 모든 고등학생이 졸업 전에 적어도 두 학기 이상 한국사를 배워야 할 전망이다. 교육부 박제윤 교육과정정책과장은 7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2014학년도부터 고교 과정 중 한국사의 이수 단위(1단위는 주당 1시간)를 현행 5단위에서 6단위로 늘릴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과장은 또 “주변국의 역사 왜곡과 우리 학생들의 역사 인식이 부족하다는 우려에 따라 한국사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일선 고교의 의견을 수렴한 뒤 9월 교육 강화 방안을 확정해 전국 시·도교육청에 통보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지난해부터 고교에서 한국사를 5단위 이상 의무적으로 가르치도록 했다. 그러나 일부 고교에선 3개 학년 중 한 학기(1주당 5시간)만 한국사를 가르친다. 학교 재량으로 특정 과목을 일정 기간에 몰아서 학습하는 ‘집중이수제’를 한국사에 적용한 것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비중이 크지 않은 사회·과학 과목 등은 1·2학년에 마치고, 3학년 때는 국·영·수 등 주요 영역에 집중하는 게 낫다는 생각 때문이다. 한국사가 6단위로 확대되면 학교가 집중이수제를 적용해도 한 학기에 한국사 수업을 마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정치권에선 수능에서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윤관석 의원은 이날 “주변국의 역사 왜곡이 도를 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수능 응시자 중 한국사 응시자의 비율은 2009학년도 10.5%(5만8635명)에서 2013학년도엔 7.1%(4만3918명)로 줄었다. 민주당 이용섭 의원과 새누리당의 심재철 의원도 한국사를 수능 필수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부는 한국사를 필수로 할 경우 기존 수능 체제를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하는 만큼 신중하게 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채병건·천인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