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가 수의계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작년 한햇동안 부산시청에서 실시한 공사비 2백만원 이상의 공사계약 건수 98건중 1건을 제외한 97건이 수의계약이나 지명입찰을 통해 이뤄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30일 검찰조사에 따르면 공사비 2백만원 이상의 각종 공사계약 98건중 단1건만이 일반경쟁입찰로 됐으며 84건 13억4백45만7천원 상당이 지명입찰을 통했고 13건 l억1천5백35만2천원은 수의계약으로 이뤄졌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같은 계약이 회계법상 잘못은 없으나 그 내용을 보면 신한 미성 조양 세회사에 일부러 독점토록 해주었다는 것이다.
부산시청은 이들 3개회사에 공사계약을 맺어주기 위해 사전에 공사실적이나 자본금 등으로 보아 응찰할 자격이 없는 군소업자들에게 지명을 해주고 마지막 낙찰단계에서는 포기토록 종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에 의하면 형식적으로 응찰한 군소업자들은 입찰이 끝난후 이애 대한 댓가로 사소한 공사계약을 맡는 등 시청관계공무원 및 이들 3개회사와 공모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운영이 나빴을뿐-박내무말>
한편 부산시정을 수습키 위해 부산에 다녀온 박환원내무부장관은 29일 하오『지명입찰은 나쁜것이 아닌데 부산전시장 경우는 그 운영이 나빴을뿐』이라고 말하고『더우기 부산시 배석권재무국장을 검찰수사가 끝나기도 전에 동구청장으로 전보 발령한 것은 부산시 직원의 여론을 참작한 조치』라고 말해 주목을 끌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