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년이후 미 평화식량법|식량·원면에 큰타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72년부터의 미국의 평화식량법은 식량부문과 면방직원료 확보분야에 가장 큰 충격을 줄 우려가 있으며 이에 대비한 종합대책이 긴급과제로 「글로스업」되고있다. 72년 이후의 소맥수요는 년간1억불선으로 추정되고있으며 원면은 현재의 수요추세에 비추어 년간5천만불 규모로 추산되고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는 71년의 외자원리금상환 1억4천여만불의 외환부담을 안고 있으며 72년부터 비록 그것이 장기저리차관이긴 하지만 1억5천만불에 달하는 식량및 원면의 도입이 겹친다면 72년이후의 외환부담이 급격히 늘어나 경제전반에 미칠 영향력이 크게 작용할것으로 예측되고있다. 관계전문가들은 이같은 확정밑에 ▲70년에끝날 평화식량법의 기한을 연장조치 ▲한국의 식량자급도및 면방직원료대책등을 감안, 현지통화 구매를 감축하는 한편, 정부는 이에 대응하는 종합대책을 긴급히 수립, 미국행정부와 협의해야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특히 식량문제는 식생활개선에따른 분식장려로 해마다 소맥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소맥자급율이 69년에 20%선에 머무르고있는 형편인데 72년부터 소맥무상원조가 단절될경우, 이에 대한 외화부담이 급격히 늘어날수밖에 없는 실정인데 농림부는 이에따라 소맥증산5개년계획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방침이다.

<13억이나 21억불선 원조정책 조속단안|미외원위촉구>
【워싱턴27일동화】「뉴요크·타임즈」지는 27일 미국국무·국방·재무성및 수출입은행·경제보좌관회의·국제개발처(AID)의 대표들로 구성된 한 행정부의원회는「닉슨」대통령에게 저개발국들의 경제발전을 위한 미국의 경제원조를 계속할것인지, 아니면 제한할것인지 빨리 결정하도록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국가안보위에서 검토중인 이위원회 보고서는 ①내회계년도 경원수권액규모를 의회의 금회계연도 외원승인액인 13억「달러」로 하든가 ②지난1월「존슨」전대통령이 예산교서에서 요청한것보다 약2억5천만「달러」가 적은21억「달러」로하든가 두가지방법이 있다고 제의한것으로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