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북한 사설

6·25를 제대로 가르치자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6·25 전쟁에 대해 중·고생 70%가 ‘북침’이라 응답한 조사결과가 나와서 기성 세대에 충격을 줬다. 상당수 응답자들이 ‘북침=북한의 남한 침공’으로 잘못 안 탓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그럼에도 우리 청소년들이 현대사를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 현실은 분명해 보인다. 6·25가 언제 일어났는지, 3·1절이 무슨 날인지 모르는 학생이 많다. 김구 선생을 시인(詩人)으로 알고, 야스쿠니신사가 서울 강남에 있는 건물 아니냐고 대답한 학생도 있다. 6·25 63주기를 이틀 앞둔 오늘, 살아 있는 현대사 교육이 시급하다고 느끼는 이유다.

청소년들의 부실한 역사인식은 무엇보다 부실한 역사교육 때문이다. 2005년부터 대입 수능시험에서 국사가 필수에서 제외됐다. 이후 28%였던 국사 응시율은 지난해 6%로 떨어졌다. 일본 대입 수험생의 일본사 응시율은 40%에 달한다. 일본 대학들 대부분이 일본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덕분이다. 일본의 현대사 왜곡과 중국의 동북공정에 분개하면서도 정작 우리는 미래세대에 대한 역사교육을 소홀히 하는 꼴이다. 그러면 동북아 역사전쟁에서 낙오자가 될 수밖에 없다. 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다시 지정하되 암기 위주인 역사교육 관행도 바꿔야 한다. 6·25 격전지를 순례하는 현장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이 능동적으로 역사적 사실을 체득하도록 해야 한다.

그뿐만 아니다. 살아 있는 6·25 교육을 위해 북한 내 국군포로 송환과 전사자 유해 발굴에도 발벗고 나서야 한다. 미국은 북한에 330억원을 주고 1995년부터 10년간 북한 땅에서 미군 전사자 유해 400여 구를 발굴해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냈다. 미국 정부는 이런 노력을 통해 미래세대에 살아 숨쉬는 애국심을 가르친다.

21일 정부는 6·25 당시 북한에 강제로 끌려간 민간인 현황을 직권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6·25전쟁 때 납북 민간인은 9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밝혀진 납북자는 2265명뿐이다. 만시지탄이지만 지금이라도 정부가 직접 나서서 납북자 현황을 파악하고, 역사의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

역사교육의 핵심 도구인 역사교과서를 어떻게 만드느냐도 중요하다. 좌우 이념에 편향된 시각을 배제하고 사실(史實)을 충실하게 기술해 청소년에게 역사의 진상을 알게 해야 한다. 정치적 논란에 휩싸이는 걸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6·25 교육을 강화하자는 주장에 대해 일부 교사나 좌파 진영은 “반북 의식을 고취하는 조치”라며 반대한다. 극소수지만 아직도 ‘북침설’을 고집하며 잘못된 인식을 전파하려는 이들도 남아 있다. 하지만 6·25의 발발 원인에 대해선 중국·러시아조차 ‘남침’임을 인정하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이념을 방패 삼아 명백한 사실을 뒤집으려 하면 오히려 자신의 이념을 훼손할 뿐이다. 사실을 오도하는 이념은 국민과 역사로부터 외면당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