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치] 아이와 부모가 함께하는 다이어트의 묘미

중앙일보

입력

[박민수 박사의 ‘9988234’ 시크릿]

가정의학과 전문의
박민수 박사

최근에 놀라울 정도로 체중을 잘 빼고 감량한 체중을 성공적으로 유지하는 소아비만 환자가 몇 명 있었는데 공통점 중 하나가 엄마가 함께 다이어트를 하였다는 것이다.

부모의 비만이 소아비만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부모가 모두 비만인 경우, 아이가 비만이 될 확률은 약 80%에 이른다. 한쪽 부모만 비만인 경우에는 약 40%, 양쪽 부모가 모두 비만이 아니라면 아이가 비만이 될 확률은 10% 미만이다. 유전학적으로 물려받는다는 특성 이외에도 부모의 비만습관이 생활하면서 아이들에게 바로 이식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엄마들이 자신의 비만은 내버려두고 아이의 비만만 혼내거나 아이에게만 다이어트를 하도록 강요한다. 이런 경우 아무런 효과도 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괜한 반감만 일으키기 쉽다.

나는 병원을 찾는 엄마들에게 가급적 같이 동참하겠다는 의사표현을 아이에게 공개적으로 하도록 권유하기도 한다. 어떨 때는 엄마가 자신의 비만도 함께 치료하겠다는 결심이 없다면 차라리 아이의 다이어트도 감행하지 않도록 권유할 때도 가끔 있다. 성공확률도 낮은데 아이마저 스트레스 받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비만이라면 반드시 아이와 함께 다이어트를 시작하라.
역설적이게도 부모가 비만이면 아이의 다이어트에 더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도 있다. 호주 플린더스의과대학교 영양학자 안세아 마가레이 박사팀은 5~9세의 비만 어린이를 둔 169명의 엄마들을 6개월 동안 다이어트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소아비만 아이 대신 엄마를 대상으로 영양교육과 체중조절 운동을 실시한 것이다. 엄마들의 식생활이 바뀌고 규칙적인 운동이 계속되자 놀랍게도 자녀들의 체질량 지수가 평균 10% 이상 떨어졌다. 엄마의 바뀐 식습관이나 운동습관이 아이에게 영향을 미친 것이다. 엄마의 운동이나 야외활동에 아이들 또한 동참하게 되며 변화된 엄마의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아이들이 보고 배우며 엄마의 달라진 입맛이 건강한 식단을 만드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맹모삼천지교가 아니라 맹모 다이어트 지교가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함께하는 다이어트는 수면아래 잠자고 있던 부모와 아이와의 관계 균열을 끄집어내어 올바르게 봉합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이 홀로 다이어트는 다이어트를 시킨다고 아이에게는 음식을 심하게 제한하면서, 정작 부모나 다른 가족은 아이 앞에서 맛있는 음식을 즐기는 안타까운 사례를 연출하기도 하였다. 이런 경우 아이의 다이어트는 백발백중 실패하고 만다. 아이에게 제대로 된 다이어트 동기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이어트를 하며 음식을 절제하고 있는 아이 앞에서 다른 가족들이 맛있는 음식을 즐기는 것은, 마치 아이에게는 공부를 하라고 강요하고 다른 가족들은 TV를 보며 깔깔거리고 있는 것과 같다. 이런 상황에서 공부가 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아이의 마음속에 다른 가족들에 대한 적대적인 감정이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아이가 다이어트를 시작한다면, 엄마 역시 아이와 함께 다이어트를 시작해야 한다. 아이가 야채를 먹을 때는 엄마도 즐겁게 야채를 함께 먹고, 아이가 비만 예방에 도움이 되는 동화책을 읽을 때는 엄마도 함께 읽으며 공감해주어야 한다. 아이가 다이어트를 위해 운동을 할 때는 옆에서 지켜보며 격려와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함께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에게 이 음식을 먹지 말라고 했다면 적어도 아이 앞에서만이라도 엄마를 비롯해 다른 가족들도 먹지 않는 결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함께 절제야말로 아이에게 천군만마같은 의지력을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아이와 함께 다이어트를 실행한 부모들의 다이어트 성적도 매우 좋았다는 것이다. 아이에게 약속을 지키기 위한 부모의 힘이리라.

아이와 부모가 함께하는 다이어트는 아이와 부모간의 신뢰관계를 한 단계 발전시킬 뿐 아니라 아이의 다이어트 성공확률을 높이고 부모까지 덩달아 건강해지는 일석삼조의 가족 힐링 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박민수 가정의학과 전문의

박민수 박사의 '9988234' 시크릿 칼럼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