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원자력협정 협상 내달 3~4일 서울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6월 하순으로 예정돼 있는 박근혜 대통령의 방중에 앞서 다음 달 3~4일 베이징에서 한·중 차관급 전략대화를 할 계획이라고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27일 밝혔다. 취임 후 처음 연 내·외신 기자회견에서다. 윤 장관은 미국·일본 등 주변국과의 외교 일정도 공개했다. ▶6월 3~4일 서울에서 한·미 원자력협력협정 개정 7차 협상을 하고 ▶6월 하순에는 한·미 수석대표 간 방위비 분담금 첫 협상을 열며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조치 점검을 위해 6월 중 양국 고위 당국자 협의를 열 계획이라고 공개했다. 그 밖에 6월 말에는 한·미·중 3국 간 1.5트랙(반관반민) 전략대화 개최를 준비 중이며, 7월 4일엔 최초로 한·호주 2+2(외교·국방장관) 회담을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미·중 전략대화는 정부의 어느 차원에서 하는 건가.

 “6월 말 한·미·중 전략대화는 민관 합동의 1.5트랙이다. 여기서 의견 조율을 한 후 다음 단계로 나가는 게 좋다. 공통 관심사가 논의될 수 있다. 잘되면 정부 차원의 협의로 진전될 수 있을 것이다.”

 -한·미 원자력협력협정이 2년 연장됐다. 앞으로의 협상 전략은.

 “한·미 정상회담 이후 처음 시작하는 협상이라 앞으로 가능한 한 연장 기한을 다 쓰지 않고 이른 시일 내 진전이 이뤄지도록 전반적 전략을 구상 중이다.”

 -박근혜 정부의 대일본정책 기본방향은 뭔가. 한·일 정상회담이나 장관급 회담의 조건은 뭔가.

 “2월 말 이후 보이는 일본의 여러 동향이 상당히 실망스럽다. 연이은 역사퇴행적인 언동은 한·일 관계를 강화시키려는 우리 정부 의지에 찬물을 끼얹는 게 아닌가 싶다. 이런 분위기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정상회담은 물론 다른 고위급회담도 쉽지 않을 수 있다.”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 납득할 수 없으면 국제사법재판소(ICJ) 에 제소하라고 했는데.

 “국제사회의 상식에 어긋나는 민망하고 창피스러운 언급이라고 많은 사람이 본다. 이런 발언을 하면 할수록 양식 있는 일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일본을 고립시킬 수 있는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본인을 위해서나 일본의 양식 있는 분들을 위해 자제가 필요하다.”

 -한·호주 2+2 회담의 의미는.

 “호주와 한국은 동아시아 지역, 글로벌 전반에 대해 공통적 전략 이해가 많고, 중견국 외교를 같이하는 나라로 공조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회담을 하게 됐다. 이번 회담은 한반도 및 역내 문제에 대해 공동 보조를 취할 수 있는 중요한 트랙이 될 것이다.”

정원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