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등씩만 쓰지맙시다"|1호1등 절전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내년3월말까지 전력수급사정이 더 핍박해질 전망에 따라 1호1등의 절전을 범국민 운동으로 전개하기로 했다.
상공부는 이와함께 각기관과 중요산업체에 절전책임자를 두어 전력낭비를 최대한 방지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13일 김정렴 상공부장관은 이같은 방침을 밝히고 1호1등 절약의 범국민운동을 각시·도단위로 절전위원회를 설치, 강력히 추진할 방침이며 필요한 경비(1개시·도1백만원)를 한전이 부담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지난 9일부터의 TV방송 시간단축과 가로등에 대한 격간 점화에 이어 결정된 이같은 절전방안은 68년 1월부터 3월까지의 부족전력량이 11월중의 9만킬로와트(자가발전제외)에서 11만4천킬로와트로 늘어나고 이에따라 절전을 해야할 전력량은 현재의 1만킬로와트(TV·가로등절전)에서 2만2천킬로와트로 늘어나기 때문에 취해지는 것이다.
김 장관은 이러한 전력사정을 설명, 『산업용전력에 대해서는 이 이상 제한송전을 하지않는다』는 전제 아래 2만2천킬로와트의 절전소요량을 1호1등 절전으로 대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에 의하면 현재의 이 핍박은 전력수급사정은 68년4월 이후에 가서나 풀릴 전망인데 3월말까지 준공될 반전시설은 (10청평수력3호기(4만킬로와트) (2)외자대부에 의한 자가발전기도입 5만6천킬로와트(약6백50만불소요)한전의 「디젤」발전기 3만 킬로와트를 긴급 설치하여 68년4월부터 가동케 하려는 것등이다.
또한 4월이후에는 군산화력, 화천화력4호기, 울산「개스·터빈」, 부산화력 3·4호기 완공등으로 68년 연말에는 13만7천 킬로와트의 예비전력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내년3월까지는 1호1등의 자진절전이 제대로 되지않을 경우 1호1등을 절약운동은 강제성을 띤 송전제한으로 바뀔 가능성이 많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