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보편적 복지란 단어의 포로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민주통합당이 강령에 ‘북한 인권’을 포함시키고 ‘보편적 복지’ 개념을 수정, 경제 성장을 강조하는 강령 개정안을 마련했다.

 이와 관련해 당 강령·정책분과위 이상민 위원장은 16일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총선·대선을 거치며 당이 교조주의적으로 ‘보편적 복지’란 단어의 포로가 돼 현실성을 잃어버렸고, 그로 인해 국민의 신뢰를 잃어버렸다”며 “대북 문제에 대해서도 믿을 만한 정당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우리는 이념집단이 아니라 정당”이라며 “노선보단 실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변호사 출신의 이 위원장은 2004년 17대 총선 때 대전 유성에서 열린우리당 당적으로 당선된 뒤 19대까지 3선에 성공했다. 18대 때 공천에서 탈락하자 자유선진당에 입당했다가 2011년 12월 민주당으로 돌아왔다. 계파색이 엷은 중도로 분류되며, 대선 경선에서 문재인 후보의 공동선대본부장을 맡았다. 강령 개정안은 5·4 전당대회에서 확정된다.

 - 북한 인권을 포함시킨 이유는.

 “공존·공영 기조는 그대로다. 그에 못지않게 우리는 안보를 중시한다. 북한 인권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우리가 존중하고 있음을 명시하기 위해서다.”

 - 보편이란 말의 포로 됐다는 의미는.

 “선거 국면에서 모든 국민에게 일률적으로 혜택이 돌아간다는 의미의 ‘보편적’이란 단어가 과도하게 쓰였다. 하지만 보편적 복지가 하루아침에 이뤄질 수 없다는 걸 국민은 다 안다. 복지는 점진적·단계적으로 확대돼야 한다는 의미에서 ‘보편적’이란 단어를 없애고 ‘복지국가의 완성’으로 강령을 수정할 필요가 있었다.”

 - 개정안에서 성장 강조하기로 했는데.

 “우리는 반기업 정당이 아니다. 자유민주주의 정당으로서 기업의 창조적 경제활동과 그로 인한 성장을 중시한다. 성장이 돼야 복지도 가능한 거다. 그런데 ‘기업 때리기’만 강조되면서 국민으로부터 오해를 샀다.”

 - 지난해 좌클릭한 면이 있지 않았나.

 “소수의 강경한 목소리가 당심을 가린 면이 있었다. 당명을 ‘민주당’으로 바꾸려는 것도 정치의 본령으로 돌아가자는 의미다. 새 정치가 필요한 게 아니라, 정치의 본래 의미를 찾아가야 한다. 정치는 실험이 아니라 현실이다.”

 - 지난해 6·9 전대에서 만들어진 강령을 11개월 만에 또 바꾸는 건데.

 “당시 민주당과 시민단체가 통합하면서 강령이 거칠게 만들어졌다. 이번엔 많은 토론을 했고, 오래갈 강령을 만들었다.”

강인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