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병원들의 메아리 '인센티브 강구하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 사진 김수정 기자

전문병원들이 인센티브를 강구하라는 요구를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 내 과별 합의가 지연되고 있어 구체적인 계획안은 여전히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14일 열린 ‘2013 전문병원 기관장 간담회’에서 일선 전문병원들은 “복지부가 전문병원 지정만 해놓고 어떤 혜택도 없이 알아서 하라는 식”이라며 “왜 전문병원을 지정했는지 모르겠다”는 성토가 잇따랐다. 매번 열리는 전문병원 관련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의 토로가 반복되는 상황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척추전문병원 보험위원장은 “의무인증을 준비하고 통과하는 데 적지않은 비용이 들어갔다”며 “그렇지만 종별가산율과 수가 등 어느 것 하나 상향 조정되는 게 없다. 전문병원이 활성화될 수 있을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대구의 또다른 척추전문병원장도 “정부가 전문병원을 만들어놓고 보험료 들어가는 걸 줄이는데만 급급한 것 같다”며 “저도 작년에 인증을 통과하면서 비용이 많이 들었는데 실상 성과는 별로 없다. 정부는 알아서 전문병원 홍보하라며 방치만 하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부천에서 수지접합으로 전문병원을 받은 병원은 전문병원 선정 기준의 불합리를 꼬집었다.

이 병원은 “수지접합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많지 않지만 수지접합 환자는 응급환자이기 때문에 의료진이 24시간 대기를 하고 있다”며 “그러나 응급의료인데도 이에따른 보상은 없다. 수지접합 전문병원 요건 중 하나가 환자 도착 후 몇시간 내에 수술 들어갔느냐인데 환자 수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사실상 운영이 힘들다”고 토로했다. 결국 이 병원은 차기 전문병원 지정 선정 시 수지접합을 포기하고 관절전문으로 전문병원 지정을 신청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전문’병원이란 광고를 복지부로부터 지정받은 병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했지만 정작 복지부가 단속에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 대국민 홍보에 소홀하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이처럼 인센티브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자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 강준 사무관은 “기본적으로 질 제고에 대한 합당한 보상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있으며 그 수준과 범위를 논의하고 있다”며 검토 중이라고 답변했다.

복지부가 구체적인 안을 내놓지 못하는데는 내부 과간 합의가 안되서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대한전문병원협의회 이상덕 기획정책위원장(하나이비인후과)는 “복지부 내 보건의료정책과는 전문병원에 가산을 주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며 “그러나 보험정책과에서 예산을 쥐고있는데 내부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여전히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산부인과 의사들 “더 이상 버틸 힘이 없다” [2013/02/14] 
·[본들] 아산병원 앞 '봉고차' 수상하다 했더니 [2013/02/14] 
·사노피 그룹 사옥이전…"반포동 시대 연다" [2013/02/14] 
·전문병원 앞으로 활성화 하려면? [2013/02/14]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개선 공사로 최소 운영 [2013/02/14]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