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가 인하 6개월, 약품 절감비 9086억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약가인하 시행 6개월이 지난 현재, 약품 절감비는 908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2012년 4월 약가인하 이후 6개월간(4월~9월)의 건강보험 약품비 청구금액을 모니터링한 결과, 총 약품비 지출을 9086억원 절감했으며 약품비 국민부담을 2726억원 줄였다고 발표했다.

복지부는 약가인하로 건강보험재정은 6360억원이 절감되었고 국민부담(약품비 본인부담)은 2726억원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기간 총진료비는 증가(↑6.6%, 약품비 제외)한데 비해 약품비는 감소(△7.1%)함에 따라 총진료비 중 약품비 비중은 26.4%로 전년 동기(29.3%) 대비 2.9%p 감소했다.

의약품 유형별로 보면 약가인하 이전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복제약의 오리지널약으로의 처방 전환은 실제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가인하로 상대적으로 고가였던 오리지널 품목의 가격이 복제 품목의 가격과 같아져 오리지널 처방이 늘어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제네릭 품목 비중이 높은 국내제약사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

모니터링 결과 오리지널(최초등재의약품) 의약품 사용 비중은 6월과 7월에 조금씩 증가하다가 8월과 9월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려와는 달리 오리지널과 제네릭 간 처방 전환에 따른 국내사-다국적사 간 시장 점유율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이라 볼 수 있다고 복지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약가인하 후 다국적제약사(다국적제약협회(KRPIA) 소속 28개사) 청구금액비중은 소폭 증가했으나 이는 특허 신약 등의 청구증가(2008년 이후 연 800~1000억씩 증가), 국내사와의 co-promotion확대 등이 주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co-promotion은 공동마케팅 계약을 맺은 2개 이상 제약사가 같은 제품을 같은 제품명으로 영업하는 방식이다.

모니터링 결과, 약가인하 후 증가하던 다국적사 청구금액은 8월 이후 감소해 9월에는 그 비중이 4월 수준과 유사한 27.6%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가인하 이후 다국적사의 청구금액 비중이 일부 증가하였으나, 최근들어 감소추세로 돌아섬에 따라 약가인하 효과에 대한 결론을 맺기 위해서는 청구금액 변동에 대한 추가적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와 심평원은 "이번 모니터링 결과 진료비 대비 약품비 비중은 감소했지만 약가인하 효과를 제외할 경우 약품비가 꾸준히 늘고 있어 약 사용량 증가 추세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약 사용량은 노인인구 증가와 고가약 등재 확대 등에 따라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약품비 사후관리의 필요성도 증가한다"고 말했다.

이어 "약가인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용량약가연동제’ 개선 등 약가 사후관리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할 것"이라며 "약가인하 이후 합리적인 신약 등재절차 개선 요구를 반영하여 신약 가격결정 방식 개선을 추진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본들] "제약사 영업사원이 의사 만나는 이유가 리베이트 때문?" [2013/02/06] 
·응급의료 중증 환자 중심으로 이원화…실현 가능성은? [2013/02/06] 
·복제약 출시 후 비실대던 비아그라 결국은… [2013/02/06] 
·춘천성심병원, 상급종합병원 자진 반납 [2013/02/06] 
·역시 서울대병원…국내 임상시험 주도 [2013/02/07]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