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창과부·안행부·산통부? 박근혜 정부 부처 어떻게 부르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행정안전부가 안전행정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안전’을 ‘행정’보다 앞세워 안전관리 총괄부처로서의 기능을 강화했다.

 인수위 유민봉 국정기획조정 간사는 15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특히 박근혜 당선인이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공약을 수차례 밝힌 만큼 안전에 대한 상징성을 부처 이름에 담았다는 설명이다. 박 당선인은 대선 기간에 민생치안·재난관리·소방방재 인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개편되는 안전행정부에는 경찰청과 소방방재청 역할이 강화되고 인력도 보강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초 행안부의 조직과 기능을 그대로 유지한 채 사회안전 부문을 강화하는 것이라면 굳이 명칭을 ‘행안부’에서 ‘안행부’로 바꿀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노무현 정부 시절 대통령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 국민대 교수는 “당선인이 안전을 강조한다면 정책으로 반영하면 되지 이름을 그런 식으로 바꾸는 건 무리수다. 인수위가 너무 당선인의 의지를 의식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안전행정부’를 줄임말로 ‘안행부’로 부르게 될 경우 ‘안 행복하다’, ‘(일)안해’ 등으로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새정부의 취지와 상반되는 어감이다.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와 지식경제부에서 이름을 바꾼 ‘산업통상자원부’도 이름에 대한 논란도 이어진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미창과부’, ‘미창부’, ‘미과부’ 등이 가능성이 있고, 산업통상자원부도 ‘산통부’로 부르게 될 가능성이 있다.

개편된 정부부처의 이름을 놓고 네티즌들은 “행안부에서도 원래 안전은 중요한 것 아니었나? 말장난도 아니고…예산낭비인 것 같다”, “인쇄업체와 간판제작사만 신났네”, “난 일 안행! 애교부리나”, “미창과부? 미창부? 미과부? 다 어감이…”, “산통부, 산통 깨는 듯”는 등의 비판의 글이 이어지고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