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델타시티 2014년 첫삽 1400여 농가 보상에 달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27일 부산신항과 김해공항에서 차로 20여 분 거리인 부산시 강서구 강동동 삼광초등학교 앞. 이곳은 옛 김해평야의 일부로 토마토 같은 시설채소를 키우는 비닐하우스가 끝없이 이어지고 작은 공장까지 있어 어수선하다.

 국토해양부는 친수구역 조성위원회 심의를 거쳐 강동동·명지동·대저2동 일대 12㎢를 2018년까지 ‘에코델타시티(친수구역)’로 조성한다고 27일 발표했다.

 에코델타시티는 첨단산업·국제물류·연구개발 기능이 어우러지고 하천과 생태계가 살아있는 복합형 자족도시로 조성한다. 낙동강과 남해안을 끼고 있는 지리적 여건을 감안해 요트와 해양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마리나가 어우러진 주거단지도 들어선다.

 부산시는 내년 1월 설계와 환경영향 평가, 하반기에 보상에 들어가면 2014년 상반기 에코델테시티를 착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사비 5조4386억원은 시와 한국수자원공사가 2대 8 비율로 부담한다.

 에코델타시티 예정지를 포함한 강서구 일대 26.9㎢는 시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2008년 신항만·김해공항을 활용한 국제산업물류도시로 조성하기로 발표했던 곳이다.

 하지만 2010년 LH가 부동산 경기 침체로 발을 빼면서 물류도시 조성사업이 흔들렸다. 이듬해 시는 부산도시공사와 손잡고 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는 1구역(5.7㎢) 공사에 착수했지만 핵심인 에코델타시티(2-1구역)와 공항산업단지(2-2구역·9.2㎢) 는 시행자를 찾지 못했다.

 이에 부산시와 부산도시공사는 4대 강 살리기 사업의 하나로 국가하천 주변지역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친수구역특별법’에 주목했다. 시·도시공사·수자원공사가 공동으로 에코델타시티 부지를 이 법에 따라 친수구역으로 조성하겠다는 제안서를 국토해양부에 냈고, 이것이 받아들여져 본격 사업추진이 가능해진 것이다.

 하지만 과제도 있다. 이곳에 사는 1639가구(주민 3753명)의 80~90%는 소작농이다. 토지 보상에 따른 이익이 토지를 소유한 외지인 등에게 넘어갈 가능성이 큰 것이다.

 소작농 조현상(56)씨는 “주민 대부분이 60~70대 고령자여서 토지가 수용되면 제대로 보상도 못 받고 쫓겨나게 된다”고 말했다. 또 3.3㎡당 농지가 30만~40만원, 주택지·공장용지가 150만~200만원대에 거래되지만 보상가는 이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상과정이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에코델타시티는 낙동강을 이용한 친환경 첨단·문화·관광 복합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라며 “ 동남권의 새 거점도시로 부산의 성장과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위성욱 기자

◆친수구역조성사업=정부가 4대 강 살리기 사업으로 환경 여건이 좋아진 국가하천 주변지역을 개발하는 사업 . 친수구역으로 지정되면 국가하천 2㎞ 이내 지역에 하천과 조화를 이루는 주거·상업·산업·문화·관광·레저시설 등을 건설할 수 있다.

◆ 에코델타시티 조성사업 일지

- 2008년 2월 부산시·LH, 국제물류도시계획 발표 (에코델타시티 포함)

- 2010년 3월 LH, 국제물류도시 개발 포기

- 2012년 3월 부산시, 국토부에 에코델타시티 제안

12월 국토부, 에코델타시티 계획 확정

- 2013년 1월 설계·환경영향평가 등 용역 의뢰

7월 토지 보상 시작

- 2014년 1월 착공

- 2018년 하반기 준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