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일·러 북핵 대응 혼선

중앙일보

입력

안보리 20일 北核논의 특별외무장관 회의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으로 한반도 핵 위기가 재연되고 있으나 위기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대응은 큰 혼선을 빚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일본 등의 사태 해결 방안이 미국과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데다 미 행정부 내에서도 강온파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오는 15일 특별이사회를 열어 북핵 문제를 논의하고, 유엔 안보리도 조만간 회의를 소집할 방침이다.

◇각국별 입장차 노출=미국은 북한과 대화는 가능하지만 협상은 할 수 없으며 유엔 안보리를 통해 대북 제재를 구체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워싱턴의 고위 외교소식통은 12일 "북한이 설혹 플루토늄 재추출에 들어가도 미국은 협상하지 않는다는 것이 일관된 방침"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러.중.일 등 한반도 주변국은 미국과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알렉산드르 야코벤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11일 "북핵 문제에 대해선 관련 당사국 간 대화가 선행돼야 하며 대응책을 안보리에서 논의하는 것은 성급하다"면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같은 날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은 대화가 가능한 인물"이라면서 평화적 해결을 강조했다.

중국의 외교소식통은 12일 "북한과의 대화로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는 것이 중국의 기본입장"이라면서 "국제사회의 대북 비난 결의문 채택에 중국 정부는 반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관방 부장관도 12일 "일본은 제재가 아니라 대화로 북핵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고 밝혔다.

◇부산한 대응책 논의=유엔 안보리 순회의장국인 프랑스의 장 마크 드 라 사브리에르 대사는 11일 "북한이 유엔에 NPT 탈퇴 결정을 서한으로 공식 통보해 왔다"면서 "다음주 북한에 대한 대응책이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프랑스 르몽드지는 "유엔이 곧바로 제재에 들어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유엔은 오는 20일 안보리 특별외무장관 회의를 열어 북핵 사태를 논의한다.

김종혁 기자
"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