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NPT 탈퇴 파장] 정부·정치권 반응

중앙일보

입력

북한이 10일 NPT 탈퇴를 전격 선언하자 청와대와 정부, 노무현(盧武鉉)대통령당선자와 여야 정치권은 일제히 유감을 표명하며 철회를 촉구했다.

정부는 "북한의 숨은 의도와 향후 추이를 좀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을 기하고는 있지만 당혹스러워 하는 모습이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여성 지도자들과의 오찬 도중 이 소식을 전해 듣고 "한반도 상황이 한발 더 악화된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럴수록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며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이란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한의 성명 중 '핵무기 개발 의사가 없다'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그러나 사태가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이 대화의 자세로 옮겨가는 와중에 북한이 극단적인 조치를 취했다"며 아쉬워했다. "북한에 뒤통수를 얻어 맞았다"는 말까지 나왔다.

최성홍(崔成泓)외교통상부장관.임동원(林東源)청와대 외교안보통일특보와 외교부 간부들은 이날 낮 외교부 신청사에서 주한 외교 사절들을 초청해 입주 기념 리셉션을 열고 있다가 이 소식을 접하곤 서둘러 사무실로 돌아갔고, 리셉션은 어수선하게 끝났다.

정부는 정세현(丁世鉉)통일부 장관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긴급 상임위를 열고 대응책을 숙의했다.

盧당선자는 윤영관(尹永寬) 인수위 외교통일안보 분과 간사에게서 긴급 보고를 받았으며 신중한 대처를 주문했다고 인수위 관계자가 전했다. 이낙연(李洛淵)당선자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며, 盧당선자는 상황 전개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문석호(文錫鎬)대변인은 "위기를 해결해야 할 북한이 오히려 위기를 증폭시키는 것은 지극히 유감"이라며 "즉각 탈퇴를 철회하고 대화 테이블로 나오라"고 요구했다.

한나라당은 이번 사태가 1994년 북핵 위기에 버금가는 비상 상황이라고 판단, 당 북핵 특위와 국회 통외통.국방위 소속 의원 연석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박종희(朴鍾熙)대변인은 "평화적 해결을 기대하는 국제 여론에 찬물을 끼얹은 행위며 너무나 위험천만한 불장난"이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박신홍 기자 jbje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