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리문화상품.패션展

    우리문화를 소재로 고부가가치 상품에 대한 개발가능성을 모색키위한 「우리문화상품특별전」과 「서울패션컬렉션」이 24까지 한국종합전시장 3층 대서양관에서 동시에 열리고 있다. 문화체육부

    중앙일보

    1995.11.23 00:00

  • 올바른 식사법-음식과 건강-허정

    하버드대학교 보건대학원의 「맥마흔」교수는 20세기를 「인조병의 시대」라고 정의했다. 인간 스스로 만들어내는 자업자득의 결과 생기는 병들에 시달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확실히 요근래

    중앙일보

    1988.02.20 00:00

  • (125)곡부 공씨

    국내의 곡부공씨는 단일본으로 시조 공자의 53세손 공완의 둘째 아들 공소(54세손)가 중시조다. 공소는 중국 원나라 순제 때 한림학사로서 고려 충정왕 l년(1351년) 원나라의 황

    중앙일보

    1984.11.16 00:00

  • 전남 고흥군 풍양면 상림리

    전남 고흥군 풍양면 상림리 고흥반도의 중간지점인 고흥읍을 지나 녹동항으로 달리는 길목, 천등산을 마주보고 아늑한 분지에 1백20여 가구 곡부공씨들이 처마를 맞댔다. 4백여년전 인향

    중앙일보

    1984.11.16 00:00

  • (17)|담양 전씨|제자: 초정 권창륜

    「무엇을 대대로 전가해야할 것인가. 충효와 인의와 예절이 아니던가. 인간에 무슨 보물이 이보다 더 할 손가. 세상 사람이 고루 써도 바닥 나지 않을 것을…. 공과 세만 믿다보면 흉

    중앙일보

    1982.05.29 00:00

  • "선전도구" 틀 벗는 「중공만화」

    파리의「퐁피두센터」에서 열리고 있는「중공만화전」(6월 14일까지)은 중국대륙에 만화가 등장하기 시작한 20년대 이후의 작품들을 망라, 만화를 통해 정치·사회상의 변이를 한 눈에 볼

    중앙일보

    1982.05.19 00:00

  • 공자 3년만에 복권당이사당 일반공개

    ■…문화혁명과 4인조득세및 모택동의『비공운동』등 후손들에 의해 격하됐던 공자가 3년만에 다시 복권(?)되어 그의 출생지인·산동성의 곡조에 건실된 공자사당이 관광객들에게공개된다고.

    중앙일보

    1979.04.03 00:00

  • 자본-기술 없어 고민하는 중공

    공자가 이름이 나쁘다고 마시길 꺼렸던 "도천의 물일망정 좋기만 하다면 얼마든지 마셔야 할 것"(인민일보 사설)이라는 비유로 중공은 자본주의 선진국으로부터「플랜트」와 자본 및 기술의

    중앙일보

    1978.12.19 00:00

  • 중공, 공자 복권운동

    【북경 31일 AFP동양】문화혁명이후 특히 지난74∼75년에 강경문혁파인 4인조 등에 의해 신랄하게 비판되었던 공자(비공운동)의 복권운동이 중공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앙일보

    1978.02.01 00:00

  • 중공 주은내 죽은 뒤 공자비판운동 중단

    중공당 십전대회 이후 중공에서 계속돼온 공자에 대한 비판운동이 4인조 숙청과 함께 중단되었다고「유고」의 관영 「탄유그」통신이 11일 보도했다. 「탄유그」통신은 중공이 공자의 역사적

    중앙일보

    1977.07.12 00:00

  • 중공 십전대 3기 총회의 배경

    중공당은 곧 제10회 전국 대표 대회 3기 총회를 열어 화국봉의 주석 취임과 등소평의 복권을 공식 인준하리라는 소식이다. 이것은 물론 중공 당국의 공식 발표도 아니요, 확인된 「뉴

    중앙일보

    1977.04.01 00:00

  • 서양 문물을 처음 소개한 실학의 선구 지봉 이수광

    조국 근대화의 여명기 인물로서 먼저 들어야 할 이는 지봉 이수광이라고 생각한다. 지봉은 이씨 조선의 건국자인 이성계 태조의 8대 후손으로서 이씨 왕조 성립 후 꼭 2백년만인 15

    중앙일보

    1966.03.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