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불 안 나는 바나듐 배터리로 세계 ESS 시장 석권이 꿈”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불 안 나는 바나듐 배터리로 세계 ESS 시장 석권이 꿈”

     ━  [연중 기획 혁신창업의 길] R&D 패러독스 극복하자 〈46〉 스탠다드에너지 김부기 대표   김부기 스탠다드에너지 대표가 지난14일 오후 서울 강남 압구정동의 바나듐이온배

    중앙일보

    2023.04.28 01:01

  •  “불 안 나는 바나듐이온 배터리로 세계 ESS 시장 석권할 것”

    “불 안 나는 바나듐이온 배터리로 세계 ESS 시장 석권할 것”

     ━  [혁신창업의 길]46. 스탠다드에너지 김부기 대표    김부기 스탠다드에너지 대표가 14일 오후 VIB ESS(바나듐이온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를 이용한 전기차 급속충전시설

    중앙일보

    2023.04.27 16:00

  • 전기연구원. 부산대와 하이브리드형 레독스흐름 전지 개발

    전기연구원. 부산대와 하이브리드형 레독스흐름 전지 개발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박준우 박사팀과 부산대 박민준 교수팀이 기존 레독스흐름전지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을 개발해, 관련 논문이 우수한 평가를 받아 국제 저명

    중앙일보

    2023.01.09 16:11

  • 한국전기연, 대용량 전력저장용 이차전지 시험인증센터 구축

    한국전기연, 대용량 전력저장용 이차전지 시험인증센터 구축

    전력기기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명성호)이 탄소중립의 숨은 진주라고 불리는 ‘레독스흐름전지’를 시험 및 인증할 수 있는 초대형 인프라를 광주지역본부

    중앙일보

    2022.03.30 17:42

  • 서울과기대 권용재 교수, 「2021년 이달의 산업기술상」 ‘신기술’ 부문 수상

    서울과기대 권용재 교수, 「2021년 이달의 산업기술상」 ‘신기술’ 부문 수상

    서울과학기술대학교(총장 이동훈, 이하 서울과기대) 화공생명공학과 권용재 교수가 12월 1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1년 이달의 산업기술상’ 신기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

    중앙일보

    2021.12.14 16:11

  • '미술회관'에서 아르코미술관으로, 제도권 미술 40년의 기록

    '미술회관'에서 아르코미술관으로, 제도권 미술 40년의 기록

    1974년 미술회관이라는 이름으로 서울 관훈동 옛 덕수병원 건물에 세들어 운영을 시작했다. 79년 동숭동에 김수근의 설계로 신축 개관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은 74년

    중앙일보

    2014.10.24 09:23

  • PREVIEW

    PREVIEW

    ◆ 맨온 렛지감독: 에르게스 레스 배우: 샘 워싱턴, 엘리자베스 뱅크스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다이아몬드 절도 누명을 쓰고 옥살이를 하던 전직 경찰의 명예회복 과정을 그린 스릴

    중앙선데이

    2012.02.18 23:22

  • 주말에 연천으로 구석기 체험하러 오세요~

    주말에 연천으로 구석기 체험하러 오세요~

    올해로 19회를 맞는 연천전곡리구석기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2005년부터 7년 연속 우수축제로 선정된 대한민국 대표축제이다. 이번 축제는 5월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열리며,

    중앙일보

    2011.05.09 21:49

  • [전시회 산책] ‘사랑의 흐름전’ 外

    [전시회 산책] ‘사랑의 흐름전’ 外

    ◆서울 신사동 청작화랑이 개관 20주년을 기념하는 ‘사랑의 흐름전’을 연다. 48명의 작가가 1,2부로 나눠 참가해 회화와 조각을 보여준다. 신작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24일~9

    중앙일보

    2007.08.24 05:13

  • '애물단지' 판화 보물단지 될까

    '애물단지' 판화 보물단지 될까

    ▶ ‘서울판화미술제 2004’ 가 특별기획으로 마련한 ‘한국현대판화의 흐름’전에 나온 김상유(1926~2002)의 목판화 ‘고택’(왼쪽)과 오윤(1946~86)의 목판화 ‘할머니’

    중앙일보

    2004.03.30 17:24

  • 개인과 사회 사이에 천국은 존재할까

    요즘 젊은 작가들은 무엇을 화두로 고민할까. 그것은 현대미술의 중요 흐름인 소통의 문제가 아닐까.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지난 22일부터 열리고 있는 '2002 한국현대미술 신세

    중앙일보

    2002.03.25 00:00

  • 대구서 '한국 누드사진 흐름전' 열려

    1930년대부터 최근까지 한국 누드사진의 변천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한국 누드사진 흐름전'이 30일까지 갤러리 P&A에서 열린다. 사진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880년대지만

    중앙일보

    2001.06.23 00:00

  • 누드사진 70년사 돌아보는 전시회

    한국 누드사진의 역사를 한 눈에 보여 주는 전시회가 마련된다. 한국누드아카데미(원장 이창남)는 서울 중학동 포토갤러리 개관 초대전으로 '한국 누드사진 흐름전'을 27일부터 5월 1

    중앙일보

    2001.04.26 15:28

  • 신세대 작가들의 '이야기 그림전' 열려

    서울 동숭동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연례기획전 '한국 현대미술 신세대흐름전' 은 올해 주제를 '이야기 그림전' 으로 잡았다(29일까지) . 서울뿐 아니라 강원도.제주

    중앙일보

    2001.04.24 07:53

  • 신세대 작가들의 '이야기 그림전' 열려

    서울 동숭동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연례기획전 '한국 현대미술 신세대흐름전' 은 올해 주제를 '이야기 그림전' 으로 잡았다(29일까지). 서울뿐 아니라 강원도.제주 등

    중앙일보

    2001.04.24 00:00

  • 한국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 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23일까지)은 젊은 작가들의 실험정신이 두드러진 전시다. 문예진흥원이 역량 있는 신세대 작가들을 발굴하기

    중앙일보

    2000.05.16 14:31

  • '현대미술 신세대전 ' 실험정신 돋보여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 현대미술 신세대 흐름전' (23일까지)은 젊은 작가들의 실험정신이 두드러진 전시다. 문예진흥원이 역량 있는 신세대 작가들을 발굴하기

    중앙일보

    2000.05.16 00:00

  • [미술작가 창작지원 프로그램 현황]

    추계예술대학 동양화과 석철주 (石鐵周.48) 교수는 요즘 후배들 만나도 별 할말이 없다. '열심히 하라' 는 말 정도다. 학교를 마치고 기성화단에 진입을 앞둔, 애매한 위치의 젊은

    중앙일보

    1998.06.30 00:00

  • [전시]신세대 흐름전

    1839년 사진이 발명되었을 때 사진은 회화와 적대적 관계의 새로운 발명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그것은 기우. 사진은 사진 독자의 길을 걸었고 회화도 사진에 눌려 고사 (枯死) 하는

    중앙일보

    1998.06.11 00:00

  • 김춘수의 '무제 9710'

    이 작품은 4월6일까지 국제화랑에서 계속되는'접촉과 흐름전'에 출품된 김춘수씨의 작업이다.크기는 세로 1백30㎝,가로 95㎝로 가격은 5백만원. 현대적 감성과 동양의 정신성이 어우

    중앙일보

    1997.03.18 00:00

  • 판화의 모든것 한자리에-97서울판화미술제 6일 예술의 전당서 개막

    몇년째 계속되고 있는 미술계 장기불황의 터널에 끝이 보이지 않는다. 올해부터는 좀 나아지려나 기대했지만 노동법.한보사태등으로 미술시장도 더욱 꽁꽁 얼어버렸다.많은 미술인들이 지금을

    중앙일보

    1997.03.04 00:00

  • 한국 현대미술,신세대 흐름展

    미술계의 신세대들이 가진 의식은 굉장히 앞서있다. 90년대들어 사회가 물질적 풍요를 누리면서 이른바 선진국 징후군이 각 분야에서 조금씩 머리를 내밀고 있다면 이들 미술계 신세대의

    중앙일보

    1995.05.26 00:00

  • 「라이프 사이클 이론」을 정립|노벨 경제학상 받은 모딜리아니 교수

    17번째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프랑코· 모딜리아니」 교수 (67) 의 학문적 업적은▲라이프사이클 이론을 비롯해▲기업의 금융분석▲통화주의에 대한 비판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특

    중앙일보

    1985.10.16 00:00

  • 민속놀이, 그 고장서 공연

    역사적인 88년 서울올림픽을 앞두고 문화예술계의 적극적인 올림픽 참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제2회 예술평론가 심포지엄이 지난 6일과7일 이틀동안 아카데미하우스에서 열렸다. 이날 심

    중앙일보

    1982.03.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