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광복50주년 독립유공 포상자-건국포장/대통령표창

    ^康文一 국내항일 제주애월 ^姜學熙 의열투쟁 경기광주 ^高順禮 학생운동 전남광주 ^郭守斌 3.1운동 경북고령 ^具茂彦 국내항일 충남공주 ^權大稷 의병 경북의성 ^權命燮 3.1운동

    중앙일보

    1995.08.09 00:00

  • 20만 일군 세 갈래로 서울 진격

    전황① 1592년 음력 4월13일 청명한 남쪽바다 끝에서 일본군 선단이 새까맣게 몰려오는 것을 처음 발견한 곳은 경상도 남단 가덕진 봉수대였다. 쌀을 사러오는 대마도의 세견선인줄

    중앙일보

    1992.04.15 00:00

  • 환상의 터널­그 시작과 끝:63

    ◎전 남로당지하총책 박갑동씨 사상편력 회상기/제2부 해방정국의 좌우대립/“공산주의자 많이 죽였다” 김일성이 김좌진 암살/좌익한 김원봉 김구와 갈등 김좌진이나 김두한이나 나와는 아무

    중앙일보

    1990.01.31 00:00

  • 사막이 지구촌을 덮어간다|일 동해대 정보기술센터를 찾아 알아본다―이진희

    지동설이 나온 것은 수백년전의 일이지만 인류가 사는 이곳 대지가 회전하는 공이라는 것을 사람의 눈으로 확인한 것은 불과 20수년전. 그러나 지금은 지구관측위성(랜드새털라이트) 이

    중앙일보

    1985.04.06 00:00

  • (126)청도 김씨

    고산자 김정호(조선 순조∼고종)-. 생전의 가계나 내력, 심지어는 출생한 해와 죽은 해까지도 분명히 알 수 없지만 『대동여지도』의 산과 들에 영원히 살아숨쉬는 거인. 그는 청도 김

    중앙일보

    1984.12.01 00:00

  • 이태조 전적비문 탁본첩 발견

    태조 이성계가 고려 공민왕때 동북면 병마사로 명을받고 출전, 고려의 북쪽 변방인 함경도 달단동 일대서 고려를 침범해온 원나라군사를 섬멸시킨 전적비가 조선조 순조때 함경북도 홍원에

    중앙일보

    1983.09.05 00:00

  • (54)함양·성산 여씨

    뿌리가 같아 형제처럼 지내고는 있으나 어매 이후 수세대의 계보를 잃어버려 한 본관으로 통합을 못하고 있다. 함양쪽에서는 어매가 임청 광유 등 두 아들을 두고 임청(고려 때 대장군)

    중앙일보

    1983.02.26 00:00

  • (52)신안주씨 석학주자의 후예답게 고고한 가풍이어온 명문

    중국 남송때의 대유학자 주희(주자)의 증손 찬(호 청계)이 1224년 고려에 망명, 우리나라 주씨의 시조가 된다. 문중 역사 8백여년에 2만5천8백9가구, 인구 12만여명.성별인구

    중앙일보

    1983.02.12 00:00

  • 경기도 광주군 동부읍 하산곡리 죽산박씨 딸 무용론 전설 얽혀

    경기도 광주군 속부읍 하산곡리. 차령산맥의 줄기가 뻗어내려 고봉올 이룬 검단산계곡 언저리에 l백70여가구 기계유씨들이 처마를 맞대고 정겹게 모였다. 이 마을에 최초로 기계인의 뿌리

    중앙일보

    1982.08.28 00:00

  • (18)함종 어씨

    우리나라의 어씨는 본이 셋이다. 함종·충주·경흥. 전국에 1만5천여 가구 남짓한 어씨 중에 80%는 함종 어씨. 희성 치고 본 셋이 많은 셈인데 그 셋이 또 뿌리가 완전히 다른 남

    중앙일보

    1982.06.05 00:00

  • 맛깔스런 김장담그기

    예로부터 김장은 겨울철 귀중한 반(반)양식으로 각가정의 가통과 주부의 솜씨로 이어지는 맛이었다. 또 개성의 「쌈김치」, 함경도의 「동태식혜」, 평안도의 「동치미」, 전라도의 「고들

    중앙일보

    1979.11.21 00:00

  • (5)주목받는 지구(하)

    압도적인 지명도와 현란한 경력을 가진 원로나 중진이라고 해서 반드시 편한 선거를 치를 수는 없는 것이 최근의 한국적 정치풍토다. 전에는 여야수뇌급들이 자기 선거구에는 큰 신경을 쓰

    중앙일보

    1978.11.20 00:00

  • 무우년과 말이야기

    한국에 말(馬)이 들어온 것은 약 2천5백여년 전. 맨처음 쉬붙이의 무기를 가진 기마철기인이 중국 북부와 만주의 황량한 벌판을 거쳐 한반도에 미쳤을매 말을 타고 출현했을 것으로 보

    중앙일보

    1978.01.01 00:00

  • 팔도김치 그 진미를 찾아서(4)

    소설가 임옥인씨의 고향은 함북 길주. 12세때부터는 함흥에 나와 여학교엘 다녔지만 임씨는 길주에서 할머니가 담던 「동태채칼김치」의 맛을 잊지 못한다. 『함경도에선 남선에서 처럼 조

    중앙일보

    1975.11.06 00:00

  • (37)제자=김홍일-6사장 김일성의 성분

    필자는 제6사장 김성주(본명 김성주)의 정체를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혜산사건(보천보 습격사건 관련자의 검거선풍)의 담당검사였던 일인 향천 원씨(72세)를 70년 여름 동경에

    중앙일보

    1974.07.05 00:00

  • (5)|홍재휴 교수(대구교대)교주|(제자의 뒷배경 글씨는 임진록 원본의 일부)

    진양으로 가려 하였지만 막상 그때 장마들어서 회양가는 길에 강물이 넘쳐 배조차 없다는 것이었다. 그런 차제에 예장수(왜장) 가등의 병사가 점점 가까이 다가와 금화에도 더 있을 수

    중앙일보

    1973.03.10 00:00

  • (4)서애 유성용의 아들 유진의 난중 체험기

    이튿날 일행은 영평(경기도 포천군 영중면·동면 일대)으로 갔다. 그때 할머님은 현등사에 평안히 계셨고 조종에 왜가 있다는 말도 뜬 소문이었다. 그것은 가평원이 거짓 공적을 올리려

    중앙일보

    1973.03.08 00:00

  • 서북청년회

    「리더쉽」재편등으로 어수선했던 그해 (47년) 여름 일선조직애선 죽음의 공방전이 절정에이르고 있었다. 대전파견대총본부의 코밑인 유성온천장 (김갑순소유)에서 임일대표를 경호하던 유

    중앙일보

    1973.02.02 00:00

  • 임진피난기 『임진록』 발견

    이조 선조때 영의정이던 서애 유성룡의 세째아들 수암 유진 (1582∼1635년) 이 임란 당시 피난하던 상황을 국문으로 기록해 놓은 『임진록』과 옥중일기 『임자록』(1612) 등이

    중앙일보

    1973.01.27 00:00

  • 재방송에 몰려 화재만발|「7.4 물결」이틀째

    7·4발표의 충격은 시간이 지남에도 식지 않고 계속 이어지고 있다. 발표가 있은 4일은 밤늦게까지 거리·다방·가정에서 온통『평양에 갔다 왔다』는 놀라운 이야기에 쏠렸고, 하루가 지

    중앙일보

    1972.07.05 00:00

  • (356)발명학회(10)|목돈상

    발명「붐」이 일어남에 따라 이색적인 발명가들도 꽤 나왔고 괴짜행동을 하는 발명가도 더러 나타났다. 그래서 발명학회사무소는 화제가 그칠 날이 없었다. 먼저 괴짜 발명가들을 생각나는

    중앙일보

    1972.01.14 00:00

  • (218)남과 북의 포로수용소

    상병포로란 문자 그대로 전투 중 부상하고 적에 잡혔거나 포로생활 중 병에 걸린 군인으로서 전쟁에서 가장 불행한 처지에 놓인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포로가 된 것만도 불행한데 몸마

    중앙일보

    1971.08.23 00:00

  • (192)-(8)「6·25」20주… 3천 여의 증인 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

    (5) 평양공격은 「프랭크·밀번」소장의 미 제1군단의 작전담당이어서 그 군단소속의 미 제1기 병사, 한국군 제1사, 미 제24사, 영국군 제27여단이 각각 1번 입성의 진격경쟁을

    중앙일보

    1971.06.23 00:00

  • 작렬하는 말의 포화|공화 박정희 후보|여·야 두 후보 연설 통상중계

    친애하는 충청북도 도민 여러분! 뜨거운 햇볕 아래 오래 기다리신 것 같아서 몇 가지 내가 평소에 생각하고 있는 것만 말씀 드리겠습니다. 옛날 얘기입니다. 지금부터 약 3백 80년

    중앙일보

    1971.04.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