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우주 방랑자 ‘구상성단’ 지도 한국 학자가 처음 만들어

    우주 방랑자 ‘구상성단’ 지도 한국 학자가 처음 만들어

    또 하나의 우주 비밀이 한국 연구진에 의해 풀렸다. 은하 사이를 방랑하는 구상성단(球狀星團)의 지도를 세계 처음으로 그린 것이다. 이에 따라 우주의 거대 구조 연구와 은하의 형성

    중앙일보

    2010.03.12 03:27

  • 영재 자녀를 키워보니② 송수진

    영재 자녀를 키워보니② 송수진

    8살 어린 나이로 인하대에 입학해 세상을 놀라게 했던 송유근(13)군. 그는 3년 만에 인하대를 중퇴하고 학점은행제로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12세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이하

    중앙일보

    2010.02.08 10:30

  • 뉴트리노·나노·마이크로RNA … 정상에 선 그들

    뉴트리노·나노·마이크로RNA … 정상에 선 그들

    과학 분야 노벨상을 받으려면 ‘독창성’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를 잘 발전시킨 것보다는 ‘남들이 안 했던 연구’ ‘세계 최초’가 평가받는다. 공동 연구는 실험을 어느 나라에서 주도

    중앙선데이

    2009.08.29 23:46

  • 과학자 299명 미래 대한민국 만든다

    과학자 299명 미래 대한민국 만든다

    13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관장하는 기초기술연구회가 최근 NAP 5대 과제를 선정해 드림팀을 구성,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에 들어갔다. 2015년까지 산·학·연 과학자 299명의

    중앙일보

    2009.03.11 11:27

  • "미래 에너지 주도권 한국이 쥐어야"

    "미래 에너지와 관련된 것이라 외국과 공동 연구를 하지 않았습니다." 수소 연료 저장 물질의 구조를 설계해 물리학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 4일자에 논문을 게재한

    중앙일보

    2006.08.04 19:35

  • '휘어진 빛' 이용 새 외계 행성 발견

    '휘어진 빛' 이용 새 외계 행성 발견

    한국 연구진이 세계 과학자들과 함께 최초로 중력렌즈현상을 이용해 새로운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 '외계행성 찾기 프로젝트(micro-FUN)'에 참여하고 있는 충북대 한정호(물리학

    중앙일보

    2005.05.24 05:13

  • 과학기술·의학 빛낸 한국인

    2003년은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과학.의학기술이 우리나라 토양에서 자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한 해였다.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고 성능의 캡슐형 내시경, 세계 최초의

    중앙일보

    2003.12.22 09:51

  • [중앙일보 선정 2003 새뚝이] 5. 과학기술·의학

    [중앙일보 선정 2003 새뚝이] 5. 과학기술·의학

    2003년은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과학.의학기술이 우리나라 토양에서 자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한 해였다.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고 성능의 캡슐형 내시경, 세계 최초의

    중앙일보

    2003.12.21 17:02

  • '초고에너지 우주입자'검출기 개발

    미 항공우주국(NASA)이 앞으로 10년 내 밝히고자 하는 10대 과제 가운데 '초고에너지 우주입자'가 있다. 이 입자는 우주에 떠돌아다니는 것으로, 전자가 1천조 볼트 전압으로

    중앙일보

    2003.11.26 15:49

  • 태양계 마지막 행성 명왕성 신비 벗긴다

    1930년 2월18일. 미국 애리조나주 로웰천문대에서 일하던 젊은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에 의해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인 명왕성이 발견됐다. 그로부터 70여년이 지난 지금 명왕성

    중앙일보

    2002.02.18 00:00

  • 우주 전파관측망 울산 등 3곳에 설치 확정

    별의 탄생과 외부 은하계의 연구, 장기적인 지진예보를 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전파 망원경이 울산대와 연세대, 제주 탐라대등 3곳에 설치된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이우백)과

    중앙일보

    2001.12.04 14:14

  • 천문연구원, 오리온 성운서 새 분자선 발견

    국내 천문학자들이 별 탄생의 물리.화학적 진화과정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자선(특정 분자의 전파.Unidentified line)가운데 지금까지 알려지 않은 분자선을 오

    중앙일보

    2000.11.22 11:48

  • 생명공학, 반도체, 우주분야 큰 발전

    체세포복제소 탄생, 순국산위성 `우리별 3호'' 발사,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F램의 성능을 높일수 있는 물질개발. 올해 과학기술계는 생명공학과 반도체, 천문.우주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중앙일보

    1999.12.13 10:45

  • 새 은하 발견 이영욱 연세대 교수

    ''오메가 센타우리'' 라는 우리 은하 속의 또 하나의 은하를 발견해 전세계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젊은 천문우주학자 이영욱(李榮旭.38)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은하진화

    중앙일보

    1999.11.15 10:27

  • [월요인터뷰] 새 은하 발견 이영욱 연세대 교수

    '오메가 센타우리' 라는 우리 은하 속의 또 하나의 은하를 발견해 전세계 천문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젊은 천문우주학자 이영욱(李榮旭.38)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 은하진화탐사

    중앙일보

    1999.11.15 00:00

  • 8.로마린더병원

    「초미립자(超微粒子)로 암세포를 파괴하라」. 1990년 세계최초로 인류에게 선을 뵌 로마린더병원 첨단 프로톤가속기의 설립모토다.88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레온 레더만박사를 비롯한

    중앙일보

    1995.12.10 00:00

  • IBM연구소(일류의 현장 선진연구소에 가다:2)

    ◎과학기술 무한경쟁시대… 앞서가는 비밀을 찾아서/「잘팔리는 상품」 연구로 밤지샌다/정보·통신 중심 「고객지향」 방향 선회/살벌한 일류추구… 내놓을 것 없으면 못배겨/곳고서 토론·논

    중앙일보

    1994.03.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