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내 생각은…] '근·현대사 교과서' 비판은 과장됐다

    지난 1월 25일 '교과서포럼'이 창립되고 기념 심포지엄이 열려 그 내용이 언론에 일제히 보도됐다. '교과서포럼'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역사인식을 문제 삼

    중앙일보

    2005.01.30 18:26

  • [week& cover story] '한국 1호'일번지 인천

    [week& cover story] '한국 1호'일번지 인천

    팔미도의 두 등대. 앞쪽의 작은 등대가 1903년에 세워진 국내 최초의 등대다. 뒤쪽 큰 등대는 지난해 세워졌다. 문 : 개화기 '한국 최초' 중 인천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중앙일보

    2005.01.13 14:56

  • [송년 대담 - 2004년을 말한다] 문부식 VS 박명림

    [송년 대담 - 2004년을 말한다] 문부식 VS 박명림

    ▶ 이념 대립으로 갈라진 한국 사회는 어디로 갈 것인가. 2004년 한국의 분열상을 되돌아 보고 사회 통합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문부식 '당대비평'편집위원(左)과 박명림 연세

    중앙일보

    2004.12.26 18:02

  • [서울 라운지] 주한 중동국 대사가 본 김선일씨 사건

    [서울 라운지] 주한 중동국 대사가 본 김선일씨 사건

    김선일씨가 피살된 이후 한국에 주재하고 있는 아랍국가의 외교관들은 바늘 방석에 앉은 기분일 것이다. 이번 테러가 이슬람이라는 종교와 관련이 있는 듯 비치기 때문이다. 중동국가 대사

    중앙일보

    2004.07.01 17:59

  • [중앙 시평] 6·25를 잊지 말자

    제54주년 6.25를 맞이해 우리는 이 전쟁의 의미를 한번 되새겨 보아야 할 것이다. 1950년 당시 국내 정국은 극도로 혼란스러웠다. 북한은 이 틈을 이용하여 남침했고 미국의 군

    중앙일보

    2004.06.25 18:05

  • [논쟁과 대안] 3. 이라크 파병 어떻게 해야하나

    [논쟁과 대안] 3. 이라크 파병 어떻게 해야하나

    ▶ 이라크 파병을 놓고 토론자들이 격론을 벌이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박용옥 교수, 윤덕민 교수, 이태호 위원, 김근식 교수. [박종근 기자] ▶ 박용옥 한림대 교수'전 국

    중앙일보

    2004.05.13 19:06

  • 2005년 10월 독일서 전시할 '한국의 책 100권'

    내년 10월 한국을 주빈국(主賓國)으로 열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한국을 알리는 책으로 특별전시될 책 100권이 지난 8일 선정됐다. 세계 최대 규모인 이 도서전에서는 해마

    중앙일보

    2004.03.12 16:05

  • '무진기행' 등 100권 한국 홍보책에 뽑혀

    내년 10월 한국을 주빈국(主賓國)으로 삼아 열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특별전시될 한국 책 100권이 뽑혔다. 2005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 조직위원회(위원장 이강숙)

    중앙일보

    2004.03.08 18:25

  • [고은의 세상월령가 3월] 미완의 역사를 살면서

    친구 여사(黎史 姜萬吉)에게 질문을 던졌다. 역사는 가고 있는가, 처박혀 있는가. 역사학에 역사 정체의 모든 책임이 있지 않다는 사실을 모르는 바 아니건만 1980년대 어느 술자리

    중앙일보

    2004.03.03 08:45

  • [고은의 세상월령가 3월] 미완의 역사를 살면서

    [고은의 세상월령가 3월] 미완의 역사를 살면서

    친구 여사(黎史 姜萬吉)에게 질문을 던졌다. 역사는 가고 있는가, 처박혀 있는가. 역사학에 역사 정체의 모든 책임이 있지 않다는 사실을 모르는 바 아니건만 1980년대 어느 술자

    중앙일보

    2004.03.02 17:19

  • [2004 내가 연다] 6. 학술 임기환

    [2004 내가 연다] 6. 학술 임기환

    "1천5백년 동안 우리 역사였던 고구려사를 중국이 요 몇 년 사이 자국사의 일부라고 주장한다고 해서 중국사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임기환(47.한신대 학술원 연구원) 박사는 중

    중앙일보

    2004.01.11 18:20

  • [200자 서평] 비만의 원인은 유전자 外

    [200자 서평] 비만의 원인은 유전자 外

    *** 비만의 원인은 유전자 ◇ 배고픈 유전자(엘렌 러펠 쉘 지음, 이원봉 옮김, 바다출판사, 1만원)=모든 성인병의 원인으로, 심지어 나태의 상징으로까지 인식되는 비만의 궁극적

    중앙일보

    2003.12.19 17:52

  • [책꽂이] 인문·사회 外

    [책꽂이] 인문·사회 外

    ▨ 인문.사회 ◆네티즌을 위한 e-헌법, Cyber Law(성선제 외 지음, 길벗, 1만3천8백원)=연예인의 사생활 침해, 표현의 자유와 명예훼손이 충돌하는 문제, 디자인이나 음악

    중앙일보

    2003.12.19 16:51

  • [신영복·박원순 시대를 논하다] 上. 참여정부 점수는?

    [신영복·박원순 시대를 논하다] 上. 참여정부 점수는?

    신영복 교수(右)와 박원순 변호사가 만추의 계절 끝자락에서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삶의 태도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박종근 기자] 신영복(申榮福) 성공회대 교수는 사형에서

    중앙일보

    2003.11.23 18:08

  • [한미동맹 50주년 에세이 공모] 일반부 우수상 김철민

    1950년 한국전쟁의 잿더미속에서도 한국사회는 60년대이후 지속적 경제발전을 통해 세계가 놀랄만한 속도로 경제부국의 반열에 올라서고 있다. 이런 놀랄만한 결실의 숨은 힘에는 냉전시

    중앙일보

    2003.09.30 22:59

  • [한미동맹 50주년 에세이 공모] 일반부 대상 강석률

    금년 10월 1일은 한미동맹이 형성된 지 50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간 한국과 미국간의 동맹관계는 여러 번 기회와 도전을 맞았으며, 지금의 한미동맹 역시 또 다른 형태의 도전에 직

    중앙일보

    2003.09.30 22:50

  • “참혹한 전쟁 통해 美國은 비로소 하나가 됐다”

    “참혹한 전쟁 통해 美國은 비로소 하나가 됐다”

    “참혹한 전쟁 통해 美國은 비로소 하나가 됐다” 美 근대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 장면으로 기록된 게티스버그 전투. 이 전투는 4년 간의 남북전쟁 중 최대 규모였으며 또한 가장 참

    중앙일보

    2003.08.30 09:48

  • [국민의 힘-유권자운동 2차질의] 김용갑 의원

    "우리지역 국회의원 바로 알기" 경남 밀양시·창녕군 김용갑 의원님께 묻습니다! 2003. 7. 14 생활정치네트워크 국민의힘 정치개혁위원회 의원님 안녕하십니까? "생활정치네트워크

    중앙일보

    2003.07.11 20:09

  • [한국사회 담론지형이 바뀐다] 달라진 세상 갈라진 좌파

    [한국사회 담론지형이 바뀐다] 달라진 세상 갈라진 좌파

    우리 사회 담론 지형이 바뀌고 있다. 지난 선거를 거치면서 우리 사회의 주요한 담론으로 자리잡았던 진보/보수가 잦아드는 대신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사이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것.

    중앙일보

    2003.06.23 17:56

  • [한국사회 담론지형이 바뀐다] 김호기 교수가 보는 이념변화

    지난 20일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소장 김세균)가 개최한 '한국정치의 보수와 진보'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김호기(연세대.정치사회학.사진)교수는 '이념구도와 이념논쟁의 사회학'이라는

    중앙일보

    2003.06.23 17:54

  • [내 친구] 아랫사람에도 깍듯한 노신사

    1653년 네덜란드 선원 헨드리크 하멜이 탄 배가 제주도 근처에서 난파한 지 올해로 3백50년이 됐다. 하멜은 13년간의 한국 생활을 적은 '하멜 표류기'를 통해 조선을 서양에 소

    중앙일보

    2003.04.16 18:51

  • 한국사를 재는 '새로운 잣대'

    1970년대 이후 저자 강만길(69·상지대 총장)교수가 펴냈던 『분단시대의 역사인식』 『한국현대사』 등은 '책, 그 이상'이었다. 실증주의 방법론을 금과옥조로 알아온 학문풍토,

    중앙일보

    2002.08.10 00:00

  • 오리엔탈리즘의 틀과 덫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은 8월 1일 요르단 국왕과의 정상회담을 가진 후 그 전날 예루살렘에서의 폭발로 5명의 미국인을 포함해 7명이 숨진 사건에 대해 언급하면서, '일종의 가짜

    중앙일보

    2002.08.10 00:00

  • "이념 갈등이 지역 갈등보다 심각" : 원로 사회학자가 본 '오늘의 우리' : 김경동 교수 임희섭 교수

    지난 2월 정년퇴임을 한 김경동(서울대)교수에 이어 올 8월에도 사회학 1세대가 대거 은퇴할 예정이다. 임희섭(고려대)·송복·전병제(이상 연세대)교수 등이다. 이미 학계를 떠난

    중앙일보

    2002.04.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