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일찍부터 국가 번역청 만든 중국! 한국은?

    일찍부터 국가 번역청 만든 중국! 한국은?

    중국과의 외교, 비즈니스, 학문 교류의 기초, 바로 번역이다. 그런데 이 기본 중의 기본 번역 때문에 피 본 사람이 적지 않다. 식당 메뉴판, 생산 매뉴얼서부터 관공서 홈페이지마

    중앙일보

    2018.02.03 12:04

  • [배영대의 지성과 산책] ①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

    [배영대의 지성과 산책] ①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

    사람 사는 일이 다 저 마다의 무늬를 수놓아 가는 일이란 점에서 보면 인문학은 세상 모든 일에 연관된다. 인문(人文)이란 말은 사람의 무늬를 의미한다. 그런 인문학이 대학생 취업률

    중앙일보

    2016.09.06 16:40

  • [해외 대학 리포트] 존스홉킨스대, 학부 때부터 전공 집중…의대는 물론 국제관계학·음대도 명성

    [해외 대학 리포트] 존스홉킨스대, 학부 때부터 전공 집중…의대는 물론 국제관계학·음대도 명성

    존스홉킨스대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자 가장 높은 건물인 길먼홀. 이곳에서는 주로 인문학 관련 수업이 이뤄진다. 맨 위의 시계탑 안에 있는 종이 시간마다 울려 캠퍼스 전체에 시간을

    중앙일보

    2016.06.22 00:01

  • [리버럴 아츠의 심연을 찾아서] ‘美의 여신’ 기리는 신전의 중심 터키 아프로디시아스

    [리버럴 아츠의 심연을 찾아서] ‘美의 여신’ 기리는 신전의 중심 터키 아프로디시아스

    1600여 년 동안 땅속에 잠들어 있던 미의 여신이 보여주는 어머니 이미지… 버려진 듯한 고대 유적지에서 느끼는 희열은 그리스 파르테논 신전의 감동을 초월해터키 아프로디시아스에 있

    온라인 중앙일보

    2016.06.11 00:01

  • [분수대] 나라 망치는 대학 내 순혈주의

    [분수대] 나라 망치는 대학 내 순혈주의

    남정호논설위원며칠 전 67년 된 홍익대 미대 순수예술 분야(서양화·동양화·조소·판화) 교수로 서울대 출신이 처음 임용됐다는 뉴스가 나와 두 번 놀랐다. 우선 미술계 양대 산맥인 홍

    중앙일보

    2016.04.25 00:25

  • 고도성장 이끈 재벌 … 이젠 경제민주화에 동참할 때

    고도성장 이끈 재벌 … 이젠 경제민주화에 동참할 때

    재벌 개혁에 관한 ‘한국사회 대논쟁’ 참석자들이 토론에 앞서 환담하고 있다. 왼쪽부터 황인학(한국경제연구원) 박사, 김기원(방송통신대)·정용덕(서울대) 교수, 홍승일 경제에디터,

    중앙선데이

    2012.03.18 01:19

  • 노벨물리학상 받은 이바르 이에버 박사, 울산대 특강

    노벨물리학상 받은 이바르 이에버 박사, 울산대 특강

    이바르 이에버 박사가 지난달 29일 울산대 산학협동관 국제회의실에서 ‘내가 노벨상을 수상한 이유’란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 그는 ‘초전도체에서의 터널효과’ 이론으로 1973년

    중앙일보

    2010.11.01 00:25

  • “중국이 노벨상 못 타는 건 연구에 몰두 않는 학풍 탓”

    인구 13억에, 과학기술도 선진국 못지않다고 자랑하는 중국이 매년 가을에는 기가 죽는다. 자국에서는 노벨상 수상자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해서다. 최근 중국계 영국인 찰스 K 가오가

    중앙일보

    2009.10.10 02:13

  • ‘도쿄대 전도사’였던 日 학원강사 왜 요즘 “도쿄대 가지 마” 외칠까?

    대학은 어떤 곳이고, 어떤 곳이어야 하는가? 오늘의 대학이 안고 있는 문제는 무엇이며,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이어령 고문은 오늘의 대학 문제의 근원은 대학이 학생 선발을 창

    중앙일보

    2009.03.26 10:13

  • [중앙시평] 교수 인사제도 개혁이 성공하려면

    지난해 KAIST에서 시작된 교수 재임용과 정년보장 심사 강화 움직임은 이제 전국 대학으로 확산되는 느낌이다. 보도에 따르면 연세대와 성균관대 심사에서 탈락자가 있었고, 서울대에서

    중앙일보

    2008.04.15 20:42

  • [창조형대한민국CEO] “어영부영 그대들 대학 떠나라” 철밥통 깬 서남표 쇼크

    [창조형대한민국CEO] “어영부영 그대들 대학 떠나라” 철밥통 깬 서남표 쇼크

    서남표 KAIST 총장이 한 기자간담회에서 KAIST의 발전 구상을 설명하고 있다. [중앙포토]KAIST에서는 지금 한국 대학사회에서 보기 힘든 광경을 종종 목격할 수 있다. 올

    중앙일보

    2008.03.31 19:17

  • [시론] 교수가 변해야 대학이 바뀐다

    대학가에서 교수 심사기준 강화 움직임이 확산되면서 교수 개혁 바람이 일고 있다. KAIST의 교수 퇴출이 시작된 것을 계기로 서울대 등 주요 대학들이 재임용 심사에서 연구 부진 교

    중앙일보

    2008.03.06 19:40

  • 기업요구 맞춘 특성화 교육을

    한국의 공학교육이 총체적 위기상황이라는 데 각계 인사들은 공감한다. 이대로 가다간 우리나라 공대의 미래는 없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전문가들의 제언. ▶김영세 이노디자인 대표= 비즈

    중앙일보

    2006.11.09 04:31

  • "추락하는 인문학, 세상변화 못 읽었다"

    "추락하는 인문학, 세상변화 못 읽었다"

    인문학계 안팎에선 "추락하는 인문학의 부활을 위해선 외부 지원보다 인문학계 스스로 자기 혁신에 나서야 한다"는 쓴소리를 한다. 인문학의 추락 원인을 '외면받는 시류'보다 '외면받게

    중앙일보

    2006.09.26 04:32

  • "비학문적 정치풍토 캠퍼스 분위기 주도"

    "비학문적 정치 풍토가 캠퍼스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고, 이런 분위기에선 대학이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 문민정부 시절 청와대 경제수석과 재무부 장관 등을 지낸 박재윤(62.朴在潤

    중앙일보

    2003.08.29 18:03

  • 동양 눈으로 서양 본다며 낡은 오리엔탈리즘 답습

    가끔 일간지의 학술서 서평이 출판사 광고처럼 보일 때가 있다. 매운 맛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서평자의 글은 책의 서론이나 결론을 요약한 데 불과하고, 학자들의 글은 두루뭉수리

    중앙일보

    2002.07.27 00:00

  • [시론] 왜 '비전@한국' 인가

    20세기의 마지막 10년, 소련 해체 및 동구 사회주의권의 몰락은 급변하는 세계를 실감하게 했으며, 정보화.다원화.지구화의 물결은 21세기에 대한 기대를 한껏 고조시켰다. 그러나

    중앙일보

    2001.04.19 00:00

  • 한·일 게임문화 "우린 노는 물이 달라"

    늦은 밤,한국의 PC방. 널직한 공간이 10∼20대 초반의 젊은이들로 꽉 찼다. 헤드폰을 쓴 채 키보드를 두들기며 각자 사이버공간 너머 누군가와 전투중이다.마치 현실 속 경쟁인양

    중앙일보

    2000.12.11 00:00

  • 한·일 게임문화 "우린 노는 물이 달라"

    늦은 밤,한국의 PC방. 널직한 공간이 10∼20대 초반의 젊은이들로 꽉 찼다. 헤드폰을 쓴 채 키보드를 두들기며 각자 사이버공간 너머 누군가와 전투중이다.마치 현실 속 경쟁인양

    중앙일보

    2000.12.10 17:20

  • 한·일 게임문화 "우린 노는 물이 달라"

    늦은 밤,한국의 PC방. 널직한 공간이 10∼20대 초반의 젊은이들로 꽉 찼다. 헤드폰을 쓴 채 키보드를 두들기며 각자 사이버공간 너머 누군가와 전투중이다.마치 현실 속 경쟁인양

    중앙일보

    2000.12.10 17:20

  • 한·일 게임문화 "우린 노는 물이 달라"

    늦은 밤, 한국의 PC방. 널직한 공간이 10∼20대 초반의 젊은이들로 꽉 찼다. 헤드폰을 쓴 채 키보드를 두들기며 각자 사이버공간 너머 누군가와 전투중이다. 마치 현실 속 경쟁인

    중앙일보

    2000.12.10 17:04

  • 한·일 게임문화 "우린 노는 물이 달라"

    늦은 밤,한국의 PC방. 널직한 공간이 10∼20대 초반의 젊은이들로 꽉 찼다. 헤드폰을 쓴 채 키보드를 두들기며 각자 사이버공간 너머 누군가와 전투중이다.마치 현실 속 경쟁인양

    중앙일보

    2000.12.10 16:07

  • [월요인터뷰]전문대학 교육협의회 정종택 회장

    국제통화기금 (IMF) 체제 이후의 극심한 구직난 사태는 대입 지원판도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4년제 대학 원서 접수 결과 취업 전망이 밝은 학과와 그렇지 못한 학과간의 경쟁률이 크

    중앙일보

    1999.01.11 00:00

  • [중앙포럼]'대학산업'의 경쟁력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경제위기는 본질적으로 국가경쟁력의 위기다. 국가경쟁력의 원천은 교육, 특히 대학의 경쟁력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 사회 창의력의 으뜸가는 요람이

    중앙일보

    1998.10.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