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안전거리 백m 유지 안한 부주의가 부른 사고|안개지역에 「퍼트롤·카」한 대도 배치 안돼

    24중 연쇄충돌사고는 고속도로상에서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원인. 고속도로에서는 보통 1백km 주행에 1백m의 안전 거리를 유지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이날 5m

    중앙일보

    1978.11.27 00:00

  • 판문점 분할경비 합의서 서명

    리처드·G·스틸웰 주한 유엔군 사령관은 6일 하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새로운 경비대책에 관해 군사정전위 유엔군측 수석대표와 공산측 수석대표가 체결한 합의사항을 발표했다. 16일부

    중앙일보

    1976.09.07 00:00

  • 북괴초소 4개 철거키로

    3회에 걸쳐 판문점에서 열린 군사정전위 제4백46차 비서장회의에서 유엔군측과 공산측은 북괴의 불법초소 4개소 철거문제 등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안에서의 새 경비절차 토의에서 원칙적으

    중앙일보

    1976.09.02 00:00

  • 경보기도 없는 건널목 방치10년|묵살된 주민진정|주번 시야 가린 나무

    갈월 건널목참사는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 수 있었으나 관계기관의 무성의로 시설보완이 미뤄져오다 일어난 것이다. 사고가난 건널목은 서울∼의정부간 국도에서 서울미원 공장으로부터 1Om쯤

    중앙일보

    1976.05.24 00:00

  • 고속 차량 사고

    고속 「버스」참사가 또 일어났다. 끔찍스럽게도 23명의 사망자와 25명의 중경상자를 낸 18일 밤의 이 사고도 결국 고속도로 운행 차량들이 안전 운전 수칙을 완전히 무시한 무모에서

    중앙일보

    1976.05.20 00:00

  • 부주의가 빚은 봄철의 사고

    『빚쟁이가 빚 받는 것을 잊고 고양이가 쥐잡는 것을 잊는다』는 봄철이 눈앞에 다가오고 있다. 아지랑이가 아롱거리는 새봄은 온누리에 소생의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는 것과 함께 나른함과

    중앙일보

    1976.03.01 00:00

  • 개통 앞으로 사흘|지하철의 안전수칙 및 승차 요령

    지하철과 수도권 전철의 개통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15일 광복절을 기해 막을 열「전철 시대」를 위해 서울시와 철도청은 시운전,「레일」점검 등 마무리작업을 벌이고 있다. 현

    중앙일보

    1974.08.12 00:00

  • 고속화도로시대 등진 「외길다리」|충남도내 다리 43%가 일방 통행

    【유성=충남 특별 취재반 김영휘·신종수 기자】국도상의 다리가 겨우 일방 통행만 할 수 있는 외길다리. 충남 대덕군 유성면 봉명리 1번 국도상에 있는 만수교와 아산군 온양읍 풍기리

    중앙일보

    1973.12.12 00:00

  • 「사각」이 도사린 아현고가도-도시공학전문가들 조사로 밝혀져

    하루1만여대씩의 차량이 달리는 서울 아현고가도로(마포구 아현동84)에 끔찍한 교통사고의「사각」(사각)이 도사리고있는 사실이 도시공학전문가들에 의해 지적됐다. 이 고가도로는 지난작년

    중앙일보

    1971.12.02 00:00

  • 철도보안 너무 허술|건널목사고 자동차에만 책임전가

    지난 8일 서울 휘경동 건널목에서 열차와 「버스」가 충돌, 「버스」승객 18명이 죽고 68명이 부상당한데 이어 11, 12일 이틀동안에 시흥과 전남 승주, 경남 창원 등 세 곳에서

    중앙일보

    1969.01.13 00:00

  • 멍든협정…휴전15년

    27일은 휴전조인 15돌이 되는날-. 53년7월27일밤10시, 전전선에서에서 총소리가 멎고 3년동안 포화가 오가던 전투가 멎은지 15년이 지났다. 쌍방은 협정에따라 전선에서 2킬로

    중앙일보

    1968.07.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