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약물하나로 암세포가 소멸했다...美 뒤집은 임상 결과 '깜짝'

    약물하나로 암세포가 소멸했다...美 뒤집은 임상 결과 '깜짝'

      미국 최고 수준 암 치료기관인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MSK) 암센터의 소규모 임상에서 직장암 환자 전원의 암세포가 사라지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외과 수술, 화학 요법, 방사

    중앙일보

    2022.07.02 11:00

  • 유행병으로 사망률 감소?…석학들이 말하는 포스트 코로나

    유행병으로 사망률 감소?…석학들이 말하는 포스트 코로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후 인류의 미래를 논의하는 실시간 온라인 국제포럼이 9일 대전 카이스트(KAIST) 본원 정근모콘퍼런스홀에서 의료·바이오 공학의 혁신 전략을 주제로 열렸다.

    중앙일보

    2020.09.09 17:11

  • 삼육대 김현희 교수,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삼육대 김현희 교수,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삼육대 화학생명과학과 김현희 교수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는 제30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김 교수가 발표한 논문은 ‘In silico mining

    중앙일보

    2020.07.29 14:59

  • 삼육대 염색체연구소, ‘형광표지올리고탐침 이용 기술’ 개발

    삼육대 염색체연구소, ‘형광표지올리고탐침 이용 기술’ 개발

    삼육대 염색체연구소 김현희 교수(소장) 연구팀이 식물유전체 내 반복서열의 분포와 위치를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형광표지올리고탐침(pre-labelled oligonucleo

    중앙일보

    2018.05.30 11:48

  • 시장규모 33억달러…걸음마 못 뗀 우리나라

    시장규모 33억달러…걸음마 못 뗀 우리나라

    전 세계의 시선이 ‘바이오산업’으로 향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은 이미 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규정, 시장을 넓혀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의약품 분야는 물론

    온라인 중앙일보

    2015.08.10 16:09

  • [포커스] 유전체 연구사업 5788억원, 누가 받나?

    [포커스] 유전체 연구사업 5788억원, 누가 받나?

    줄기세포에 이어 유전체가 미래 바이오·제약업계의 먹을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2003년 4월, 인간 게놈지도가 완성된지 9년이 지난 현재 산업화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온라인 중앙일보

    2012.12.03 17:21

  • 사랑방

    ◇심포지엄 ▶고려대 일본학연구소(소장 김채수)는 16일 오전 10시 교내 일본학연구소에서 '일본 문화연구-그 방법론의 구축 방안'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연다. ▶한국연소학회(회

    중앙일보

    2002.11.15 00:00

  • 국내 단백질칩 연구개발 활성화

    인간게놈이 밝혀진 이후 포스트게놈시대의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단백질칩' 연구가 국내에서도 활발하다. 7일 관련학계 및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다이아칩, 프로테오젠, 제네티카

    중앙일보

    2002.01.07 09:55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⑧

    미국 수도 워싱턴 D.C.에서 승용차로 20분 거리에 위치한 메릴랜드주 록빌. 사슴이라도 뛰어나올 것 같은 울창한 숲을 배경으로 인간 게놈 프로젝트 조기완성 경쟁의 불을 댕긴 바이

    중앙일보

    2001.07.24 09:36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⑥

    포스트 게놈 시대. 일본의 전략은 `선택과 집중''이다. 인간 게놈프로젝트에서 일본도 21번, 22번 염색체의 해독에 공헌했지만 전체적인 연구의 질과 양은 미국, 영국 등 구미에

    중앙일보

    2001.07.24 09:34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③

    인간 게놈지도가 완성된 지 5개월이 지나면서 그동안 제시됐던 장밋빛 청사진들이 현실성이 없거나 적어도 먼 미래에나 가능한 희망사항일 뿐이라는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일본과 미

    중앙일보

    2001.07.24 09:30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②

    인간 게놈을 해독한 과학자들은 이제 포스트 게놈(post genome) 시대를 주도할 `프로테옴(Proteom: 단백질체)'' 연구로 눈을 돌리고 있다. 프로a테옴은 단백질을 뜻하

    중앙일보

    2001.07.24 09:29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①

    [편집자 주 = 지난 2월 15일 인간 게놈(유전체) 연구 국제 공공컨소시엄인 인간게놈프로젝트(HGP)와 미국 생명공학 벤처 셀레라 제노믹스(Celera Genomics)가 인간

    중앙일보

    2001.07.24 09:27

  • 산업기술 로드맵 완성…11일 공청회

    2010년에는 청소나 경비를 로봇이 사람을 대신하고 두께가 1㎜도 안된는 초박막형 전지산업이 엄청나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산업자원부는 10일 향후 10년간 유망신기술 개발의

    중앙일보

    2001.07.10 13:20

  • "2005년까지 전국민 5대암 검진"

    "2005년까지 전국민 5대암 검진"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20일 "2005년까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위암, 간암, 대장암, 자궁암, 유방암 등 5대 암에 대해 검진을 다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중앙일보

    2001.06.20 09:55

  • 생명공학 분야 학술행사 잇따라

    최근 생명공학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발맞춰 다양한 학술행사가 잇따라 열린다. 30일 관련 학회 등에 따르면 대한임삼병리학회(이사장 권오헌)는 유전자 검사의현황과 문제점을 정확히 파

    중앙일보

    2001.05.30 09:11

  • 충남대, 생명과학연구원 설립추진

    충남대학교에 생명과학부문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그 성과를 지식산업으로 연계 발전시키는 생명과학연구원 설립이 추진된다. 이광진(李光鎭) 충남대 총장은 17일 롯데대덕호텔에서 열린 대

    중앙일보

    2001.05.17 12:42

  • 과학재단, `신약 탐색기술의 조명' 심포지엄

    한국과학재단(이사장 김정덕)은 과학의 달을 맞아 오는 26일 서울 과학기술회관에서 `포스트-게놈(Post-genome)시대 신약 탐색기술의 조명'이란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중앙일보

    2001.04.24 17:46

  • 식약청, 생명공학산업 발전 지원체제 구축

    보건당국이 국내 생명공학산업 발전을 위해 제도적 지원체제 구축에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1일 국립보건원 대강당에서 `2001 Bio-tech 발전 정책토론회''를 열고 바이오

    중앙일보

    2001.02.21 11:13

  • 인간지놈지도, 새 의료시대 연다

    인간게놈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작업으로 앞으로 수년내에 수백개의 질병유발 유전자가 확인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워싱턴 포스트지가 11일 보도했다. 포스트는 이날 인간게놈지도 완성에 관한

    중앙일보

    2001.02.12 09:51

  • [증권사 추천종목] 대우증권(* 신규종목)

    ▲삼우통신공업(3186)-2000년3월 개발완료된 광가입자용 전송장비 FLC-C장비부문의 매출증가로 실적호전 전망. ▲택산아이엔씨(3690)-90년에 설립된 멀티미디어 및 통신기

    중앙일보

    2000.09.18 08:19

  • 포스트게놈 시대 개막… '생명을 디자인한다'

    ''포스트 게놈'' (Post Genome) 시대가 시작됐다. 인간 게놈(유전체) 에 대한 서열 분석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유전자 활용을 중심으로한 생명과학의 새장이 열리고 있는

    중앙일보

    2000.03.28 09:22

  • 포스트게놈 시대 개막… '생명을 디자인한다'

    '포스트 게놈' (Post Genome)시대가 시작됐다. 인간 게놈(유전체)에 대한 서열 분석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유전자 활용을 중심으로한 생명과학의 새장이 열리고 있는 것이다

    중앙일보

    2000.03.28 00:00

  • [2000년 정보.과학계 전망]1. 게놈프로젝트 논의 활발

    21세기 인류사회를 변화시킬 원동력은 과학, 정보통신분야에서 찾아야 한다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만큼 이 분야의 발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혁명의 도래는

    중앙일보

    1999.12.23 1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