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철새를 보며 자연을 배운다

    최근 『두루미를 보러갑시다!』『철새의 도래지 을숙도를 아시나요』등의 구호를 내건 관광안내가 자주 눈에 띈다. 관광을 겸한 자연학습으로 겨울새를 보러 가는 탐조모임인데 초·중·고 학

    중앙일보

    1986.01.28 00:00

  • 풍기

    김순한 초파일 희방사가 운해를 타고 앉아 젊은 병풍 펼쳤듯이 청류 한 폭 그려내면 칠십리 소백산록에 철쭉꽃이 들어선다. 진동하는 꽃향기에 온 고을이 흔들리어 명줄같은 두운노는 인파

    중앙일보

    1985.06.22 00:00

  • 울릉도

    아득히 먼 세윌 위에 파랑처럼 밀리는 너. 울향 젖은 그늘 딛고 태하동에 노을이 뜨면 성인봉 뭍으로 향한 손짓마다 별이 되고. 모시개 등줄기를 마냥 씻는 봉래폭포 너와 밀 묵은 정

    중앙일보

    1984.09.15 00:00

  • 삼림욕, 바람없는 날이 좋다|애호가들 부쩍 늘어····알아본 적지7곳

    삼림욕에대한 일반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과 유럽등지에서 최근 각광을 받고있는 삼림욕을 중앙일보(5월20일자)가 국내에 처음 소개한이후 이에대한 일반의 호응은 의외로 컸다.

    중앙일보

    1983.08.26 00:00

  • 금렵해제 후의 문제

    금지되었던 수렵이 10년만에 해제되고 심산유곡에 다시 총소리가 울려 퍼지게 되었다. 금렵이 해제된 지역은 물론 강원도와 경남 거제일원에 한정된 것이지만 그 조치자체의 의미와 파문은

    중앙일보

    1982.11.08 00:00

  • 가을철맞아 활기띤 시조동인 시집 출간

    가을을 맞아 시조동인들도 동인시집을 활발히 내고 있다. 서울의 「크낙새」동인은 3번째 동인지 「크낙새」를 내놓았다. 구법조 김몽선 이상룡 정해원씨등 12명이 작품을 냈다. 「나래」

    중앙일보

    1982.10.06 00:00

  • 가족과 함께 즐기는 초가을 하이킹 코스(경기 소리봉 전북 모악산 경북 내연산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계절 초가을. 온가족이 함께 가벼운 차림으로 더없이 높고 맑은 가을하늘을 한층 만끽할수 있는 초가을 하이킹코스를 알아본다. 서울에서 북동쪽으로

    중앙일보

    1982.09.02 00:00

  • 철새 모이주고 탐조 활동도|야생동물보호협 회원 70여명 철원서

    강원도 철원평야-. 한국야생동물보존협회회원 70여명이 넓은 벌판을 누비며 철새들의 겨울먹이를 뿌려주어 뿌듯한 하루해를 보낸다. 이곳에 서식하는 두루미들이 삭막한 겨울에 먹이를 찾지

    중앙일보

    1981.12.11 00:00

  • 천연기념물 조류서식지 거의 농약에 오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각종 야생조류의 서식지·윌동지·도래지 등이 농약에 크게 오염돼 야생조류의 생태계에 위협을 주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희귀조인 크낙새(천연기념물 l97호)의

    중앙일보

    1981.07.30 00:00

  • (3)|씨얼 문학회|경향은 다르나 전통적 서정 추구

    「씨얼 문학회」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시조 동인으로 「크낙새」와 쌍벽을 이루어왔다. 지난 77년 김광수·김효경·신현필·원용문·윤선효·이청화 등 6명이 모여 창립된 「씨얼 문학회」는

    중앙일보

    1981.07.04 00:00

  • (2)서울의「크낙새」|회원들 젊고 의욕에 넘쳐

    서울에는 많은 시조시인이 살고있으나 이들이 만든 시조동인은 몇 되지 않는다. 시조운동이 동인활동에 의해 명맥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면 우리시조는 지방의 동인단체의 활동에 전

    중앙일보

    1981.05.30 00:00

  • 사회적 무관심 속에도 꾸준한 활동-전국 시조운동의 현황

    시조시인의 단체로는 시조시인협회가 유일하게 명맥을 이어왔고 지방동인의 활동이 시조운동의 핵심을 이루어왔다. 시조시인협회와 지방동인지는 정부당국의 지원부족과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도

    중앙일보

    1981.05.02 00:00

  • 동식물생태 목록을 만든다

    한반도에 서식, 자생하는 동식물가운데 멸종될 우려가 있거나 학술적 연구가치가 있는2백여 희귀종에 대한 생태목록이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다. 한국자연보존협회(회장 이덕봉)는

    중앙일보

    1981.03.17 00:00

  • 표준말 개정시안

    ◇받침 부엌(부엌) 동녘(동녘) 갓모(갈모) 강낭콩(강남콩) 옹콤 (옴큼) 옹큼 (움큼)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 꼽추 (곱추) 가을갈이 (가을카리) 거시기 (거시키) 채 (째

    중앙일보

    1978.12.16 00:00

  • 경희대-원병오 윤성부 교수 귀국 북서 조수류 패류 채집

    부설 한국조류연구소의 원병오 교수(사진) 윤성부 교수가 지난 8월부터 「필리핀」현지를 학술조사, 희귀한 열대 조수류 2백여 점과 패류 4백여 점을 채집해 최근 귀국했다. 「필리핀」

    중앙일보

    1977.09.29 00:00

  • 역광선

    미와 작전 지휘권 협의 방침. 산으로 몰 사공 없겠으니. 소년원 가위탁생 63명 탈주. 사무사로 지나다 춘풍 맞아. 검인정 교과서 너무 비싸다고. 충효 들어간걸 모르는 듯. 광릉

    중앙일보

    1977.03.15 00:00

  • 역광선

    40년내 최대 경제 위기 맞은 영국, 긴축 재정 선포. 양반도 급할 때는 개헤엄. 지방세법개정안, 내무위서 통과. 사과 한마디로 천냥 및 탕감해 준 야당. 이번엔 공산품값 현실화할

    중앙일보

    1976.12.16 00:00

  • 광릉 크낙새 식구 늘어

    【광릉】광릉의 크낙새 (사진)가 최근 2마리 늘어 모두 8마리가 서식하고 있음이 15일 문화재관리국 광릉 사무소와 조류 연구가 윤무부씨 (경희대)에 의해 확인됐다. 천연기념물 11

    중앙일보

    1976.12.15 00:00

  • 크낙새표본 기증|개인이 경희대에

    세계적 희귀조류인 크낙새표본 1점이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가 3일 경희대조류연구소(소장 원병오)에 기증됐다. 이 표본은 서울서대문구진관외동 259 홍호구씨(54)가 1939년 당시

    중앙일보

    1976.07.03 00:00

  • 크낙새·팔색조도안2차 조류, 우표발매

    체신부는 20일부터 올 들어 2번째로 조류「시리즈」우표를 발매한다. 이번 조류우표는 크낙새와 팔색조를 도안한20원짜리2종류이다.

    중앙일보

    1976.05.19 00:00

  • 광능 크낙새 알 어미가 부리로 옮겼을 듯

    「의문의 증발사건」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광능 크낙새 알은 국내 일부학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어미가 부리로 옮겼을 가능성이 짙어졌다. 이는 크낙새와 같은과(과)에 속하는 딱다구리가

    중앙일보

    1976.04.27 00:00

  • 역광선

    여야, 투표 참관인 제 부활할 듯. 무슨 새삼스러운 이야기. 「패스맨」, 「프레이저」와 이견. 동료에게도 「총화」 권유하길. 대도시 인구 분산 위해 차등세제. 도성세라도 신설하도록

    중앙일보

    1976.04.26 00:00

  • 광능서 크낙새 알 발견

    23일상오10시4O분쯤 경기도 포천군 변흘면 광능 주차장 남쪽10m 지점에서 높이28m·지름57㎝쯤의1백년생 전나무가 강풍으로 지상15m 지점이 부러지면서 이나무에서 크낙새가 알

    중앙일보

    1976.04.24 00:00

  • 동구능 크낙새|소음으로 잃어버린 크낙새

    설악산·광능에 이어 크낙새(천연기념물제197호)의 제3의 서식처로 알려졌던 동구능에서 최근 크낙새가 자취를 감췄다. 한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이 크낙새가 66년 설악산에서 발견

    중앙일보

    1976.04.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