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영양 섭취량이 모자란다|유영상 교수 논문에서 밝혀진 실태

    한국인의 영양실태는 전반적으로 필요량에 부족되며 백미는 특히 7분도 쌀보다 5∼10%가량 영양이 뒤진다는 언구보고가 나왔다. 이런 결과는 동국대의 유영재교수(가정교육과)가 조사.

    중앙일보

    1976.08.10 00:00

  • 병원이용율 50%로 늘려

    보사부문 4차5개년 계획 성안 보사부는 21일 보건 및 사회 보사 부문에 대한 제4차 5개년 계획을 성안 ▲ 의료부문은 병·의원 이용율을 오는 81년까지 50%로 19%를 높이고

    중앙일보

    1976.06.21 00:00

  • 고혈압 예방

    식이요법이 크게 효가 있다. 짠 음식은 피하고(환자는1일 소금섭취량을 4∼9g으로 제한)맵고신 자극성 음식도 피한다. 또 동물성지방을 피해야하는데 특히 기름기있는 돼지고기·닭고기는

    중앙일보

    1975.11.19 00:00

  • 여름식단 어떻게 꾸미나

    더운 날씨 속에 가족들의 영양관리를 도맡아 하고있는 주부들에겐 무슨「메뉴」를 어떻게 골고루 짤 것인가가 항상 문제가 된다. 이런 주부들의 고민을 다소나마 해결해 주기 위해 영양학적

    중앙일보

    1975.08.07 00:00

  • 한국음식 1인분의 영양-잔치음식

    신선로·전골·구절판은 우리들이 흔히 먹는 음식이라기보다는 이름만 들어도 잔치기분이 나는 음식이다. 신선로까지 차렸더라하면 정성 들여 차린 잔칫상 또는 크게 차린 잔칫상을 말하게 된

    중앙일보

    1974.02.28 00:00

  • 저「칼로리」는 장수를 보증한다.

    『「빌카밤바」마을 주민들은 다른 저개발국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현대적인 위생시설이나 현대 의학의 혜택을 조금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마을을 가로지르는 자그마한 개천이 식수를 비롯해서

    중앙일보

    1974.01.24 00:00

  • (3)떡국·만두국·냉면·국수·수제비 등 가루음식-김숙희(이대교수·식품영양학박사)

    정월이 다가오면 떡국이나 만두국을 많이 먹게된다. 그리고 국수는 무슨 큰 행사에 주식으로 많이 등장한다. 결혼잔치에는 으레 빠지지 않는 음식이다. 요즈음은 식량사정으로 분식장려라는

    중앙일보

    1973.12.21 00:00

  • (55)겨울을 건강하게

    1년 내내 영하의 혹한 속에서 건강을 누리는 북극의「에스키모」인들의 생활은 장수의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즐겨 인용하는 본보기이다.『섭취「칼로리」2천6백. 지방 1백40g, 단백질

    중앙일보

    1973.12.08 00:00

  • 임신중독증과 식이요법|배병주·김지화씨 공동연구

    임신중이나 출산 후에 고혈압·단백뇨·부종 등의 증상이 생기고 경련·혼수상태에서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임신중독증은 우리나라의 경우 10%이상의 발생빈도를 갖는 무서운 증세이다. 배병

    중앙일보

    1973.11.29 00:00

  • (37)당뇨병

    우유1병(4백g)·달걀1개(50ㅎ)·어육류1백20∼1백50g(생선1마리와 쇠고기50∼80g)·두제품1백∼1백50g(간장3분의2큰수저·두부3분의1모),녹유야채1백g 담색야채2백g·근

    중앙일보

    1973.08.04 00:00

  • (34) 식초

    우리 몸이 지닌 신진 대사 「메커니즘」의 중핵을 이루는 것에 「크렙스·사이클」이란 게 있다. 음식물을 섭취한 후 「에너지」가 발생하려면 반드시 이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크렙스·

    중앙일보

    1973.07.14 00:00

  • 식탁의 과학|노인을 위한 식단|김숙희·김영자

    나이를 먹음에 따라 인체는 해부학적으로, 생리적으로 또한 생화학적으로 변화를 가져오며 이런 현상은 영양소 요구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세계적인 추세로 보아서 노인인구가 과거

    중앙일보

    1973.03.10 00:00

  • 혈압 높은 사람을위한 식단-김숙희·김영자

    고혈압으로 고생하는 사람중 많은수가 동맥경화증을 가지고 있다. 그 원인규명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의 실험을

    중앙일보

    1973.02.10 00:00

  • (3)소금의 양을 조절하는 식단

    김숙희·김영자 (이대교수·식품영양학) 우리나라 식사습관은 세계에서 소금의 섭취량이 높은 나라에 속한다. 소금의 다량섭취는 여러가지신체의 기능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다음의 식단은 소

    중앙일보

    1973.02.03 00:00

  • (1)새로운 식단정립을 위한 시리즈

    식비가 우리살림에선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면서도 그 식탁의 경제성에대해선 아직 많은사람들이 주먹구구식의 운영을하고 있을뿐이다. 가족의 건강과 취향, 비용을 계산하는 효율적인 운영,

    중앙일보

    1973.01.13 00:00

  • 미국인의 식생활과 비만증

    최근 미국인들은 전혀 예기치 못한 적 때문에 고전하고 있다. 풍요로 윤택해진 식생활이 오히려 건강을 위협하는 사실로 둔갑, 미국인을 공격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엇을 먹어

    중앙일보

    1972.12.16 00:00

  • 과학을 하는 자세|김숙희(이대교수·영양학)

    「멕시코·시티」에서 지난 9월 3일부터 9일까지 제9차 국제영양학 회의가 열렸었다. 1백개 국에서 약 3천5백명의 학자가 모여 자기 나름의 의견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가졌었다

    중앙일보

    1972.10.09 00:00

  • 24년 뒤의 세계인구 74억-최신 유엔 통계 연감서 밝혀

    【유엔본부 9일 UPI동양】약 36억명에 달한 세계인구는 연평균 2%인 현재의 세계인구 증가율이 그대로 계속될 경우 앞으로 28년 후면 세계인구가 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유엔 통계

    중앙일보

    1972.07.10 00:00

  • 쌀과 꿈

    이라는 외화가 있었다. 시골의 경찰서장이 길바닥에 쭈그려 앉아서 뭣인가 먹고 있는 노인에게 물었다. 『뭣을 먹고 있습니까?』 『「콥베빵」입니다.』 『뭔가 사이에 끼어 넣은 것이 있

    중앙일보

    1972.07.03 00:00

  • 곡물의존도 지나친 국민영양상태

    지난 10년 동안 우리 나라 국민의 영양섭취량은 다소 늘었으나 아직도 권장량에 미달할 뿐 아니라 도시와 농촌이 불균형상태를 못 벗어나고 있다. 3일 보사부가 발표한 70, 71년

    중앙일보

    1972.07.03 00:00

  • (23)닭고기

    최근 닭고기의 일반수요가 급증, 일반에게 보편화된 느낌이다. 닭고기는 쇠고기에 비해 값이 싸면서도 단백질이 공부한 산성 식품이다. 가금류 가운데 닭은 육용으로 가장 많이 애용되고

    중앙일보

    1972.01.12 00:00

  • (11)설탕

    사람은 배가 고프면 이내 단것이 먹고 싶어진다. 또 피로해도 본능적으로 단것을 찾는단다. 그만큼 단 것은 피로회복이 속효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설탕은 먹으면 몸 속의 장에서 단시

    중앙일보

    1971.11.15 00:00

  • 식물성 고기 콩의 영양가

    콩은 「식물성 고기」라고 불릴 만큼 영양가 높은 식품이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을 많이 먹지 못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훌륭한 영양공급원이 된다. 다음은 21일 소비자 교육 「센터

    중앙일보

    1970.10.22 00:00

  • 한국인의 영양과 체위|영양 학회 주최 강연회서

    한국인의 체위가 일본인보다 뒤떨어져 가고 있는 것은 한국인의 식품 조성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난 23일 한국 영양 학회 주최 학술 강연회서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는 곡류 과잉 섭

    중앙일보

    1970.05.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