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개 수원지 취수장에 수질오염 측정기 설치|서울시 올해부터 75년까지

    서울시는 금년부터 75년까지 시내 5개수원지 취수장에 수질오염 자동측정기를 신설하고 상공업·주거지역등 16개소에 대기오염 자동측정기를 증설할 계획이다. 서울시의 이같은 방침은 수시

    중앙일보

    1973.10.24 00:00

  • 맑은 한강물

    서울 시민들의 식수원이 되고 있는 한강은 생물적 산소 요구량 (BOD)이 6·35PPM에 이르고 있어 취수원으로서는 부적 하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지적되어 왔다. 노량진 취수구라든

    중앙일보

    1973.10.06 00:00

  • 공해 측정소 대폭 늘려

    서울시는 24일「환경관계검사 업무처리 지침」을 마련, 지금까지 산발적으로 실시해 온 환경오염도 측정 장소를 대폭 늘리고 측정 방법을 통일하기로 했다. 오는 9월부터 실시할 이 검사

    중앙일보

    1973.08.24 00:00

  • 식수난 해결 위한 집념의 노력 결정 송수용 터널 3,110관통-전북 임실군 관촌면 방수리∼완주군 상관면 용암리

    【전주=이현천 기자】최고 기온이 35도를 오르내리는 무더위 속-. 목 타는 식수난을 해결하려는 끈질긴 노력이 땅속「터널」을 뚫었다. 전북 임실군 관촌면 방수리에서 완주군 상관면 용

    중앙일보

    1973.07.10 00:00

  • 원자력발전시대로의 순항 착공2년째 고리원자력발전소 점검

    「제3의 불」원자력을 이용한 발전소건설은 세계적으로 심각한 「에너지」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확보를 서두르는 선진국들이 앞을 다투어 추진하는 것. 우리나라에서

    중앙일보

    1973.06.22 00:00

  • 식수 오염 예방 긴급조치|서울 상수도 취수구 이전계획과 찬·반 의견

    서울을 중심으로 한 인천 등 수도권 주민들에게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부는 상수도 원수 취수구를 한강상류 팔당으로 옮기겠다고 발표했다. 이 문제는 지금까지 한강

    중앙일보

    1972.05.29 00:00

  • 수도권 상수도 수원 팔당으로 이전

    정부는 수도권 인구(6백70만명)의 상수도원인 한강의 수질오염도가 날로 늘어나고 있어 이들 오염지구의 상수도 취수원을 수질오염이 덜한 팔당지역으로 옮기기로 했다. 정재석 건설부차관

    중앙일보

    1972.05.26 00:00

  • (8)표준사업별로 그 현장을 가다|간이 상수도-경남함안군 산인면 송정 부락

    경남 함안군 산인면 송정리 송정 부락에는 이제 여인들이 숙명처럼 머리 위에 이고 다니던 물동이가 없어졌다. 4개월 전만 해도 물동이를 이고 2백m나 떨어진 마을 앞 공동우물에서 물

    중앙일보

    1972.04.05 00:00

  • (6)-하수처리장

    성동교에서 동북쪽으로 청계천과 중량천이 갈라지는 지점에 「청계천 하수처리장」이라고 써 놓은 큼직한 간판이 담장을 일루고 있다. 지난 70년6월5일 서울시가 의자3백50만「달러」와

    중앙일보

    1972.01.17 00:00

  • 상수도 배증산|73년 목표로 60만톤 또 착수

    여름이면 수도물 부족으로 목말라 애타던 수도서울이 올해 여름은 부족하지만 그런대로 갈증을 면했다. 염탁식 서울시장의 취임 및 공약대로 수돗물 생산이 배증산되어 출수불량지구로 이름났

    중앙일보

    1971.12.20 00:00

  • 개발제한구역 지정관련 알아둘 몇 가지 방침들

    개발제한구역지정과 관련된 새 방침들이 최근 잇달아 공표되고 있다. 다음에 그 내용을 간추려 정리해 보면-. 건설부는 수도권개발 제한구역 지정에 이어 지방도시에도 개발제한구역을 지정

    중앙일보

    1971.09.25 00:00

  • 바닥난 수돗물…그 지대를 가다

    수도물 부족은 이제 서울시민을 물 전쟁의 단계로 몰아 넣고 있다. 급수차의 물을 서로 차지하려고 이웃 동민들끼리 싸움까지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서울의 수도물 부족은 3개월 가까이

    중앙일보

    1970.05.12 00:00

  • 200억원의 점검|지하수 개발|지사망을 통해 알아본 가뭄대책

    67, 68년의 쓰라린 가뭄 피해를 계기로 정부는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 전천후 농토에의 접근을 시도해 왔다. 『하늘에 의한 농사』에서『인력에 의한 농업』으로 탈피하려던 노력

    중앙일보

    1970.04.30 00:00

  • 한남동서 직경60㎝ 양수관 터져 20가옥 급수소동

    23일 하오5시30분쯤 서울 용산구 한남동715 앞길 지하1·5m에 묻혀 있는 직경60㎝의 철제 양수관(두께14㎜)이 터져 3백m쯤 떨어진 이남필씨(52·한남동82의2) 집 안방까

    중앙일보

    1970.04.24 00:00

  • (8) 성동구(상)

    성동구청은 올해 안에 관내의 하수도를 완전 정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청계천 복개공사를 재개하는 한편 관내에 있는 벌거숭이 산에 1천만 그루의 「아카시아」를 심어 토

    중앙일보

    1967.02.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