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동성애 반대” VS “혐오자 규탄”…서울대의 대자보 전쟁

    “동성애 반대” VS “혐오자 규탄”…서울대의 대자보 전쟁

    서울대 인권헌장 제정을 지지하는 내용의 대자보가 찢겨있다. 김지아 기자   서울대에서 인권헌장 제정, 특히 성 소수자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두고 ‘대자보 전쟁’이 한창이다.

    중앙일보

    2020.11.20 16:46

  • 조국 스승 최대권 명예교수 “보편적 양심 좇는 최선의 선택해야”

    조국 스승 최대권 명예교수 “보편적 양심 좇는 최선의 선택해야”

    최대권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스승인 최대권 서울대 명예교수가 조 후보자를 향해 “유학 추천서도 써줬던 스승으로서 사랑하는 제자에 대한 읍참마속의 마음으로, 사직이든 후보 사

    중앙일보

    2019.08.22 00:04

  • 박정희 경제성과 4.5쪽 기술, 부작용은 반쪽

    박정희 경제성과 4.5쪽 기술, 부작용은 반쪽

    28일 공개된 국정 역사 교과서(올바른 역사 교과서)는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검정교과서에 비해 20% 정도 분량이 줄었다. 그러나 주변국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한 서술이나 전후

    중앙일보

    2016.11.29 02:16

  • 김정배, "한국 현대사는 연구 역사 일천해 각계 전문가가 나눠 집필"

    김정배, "한국 현대사는 연구 역사 일천해 각계 전문가가 나눠 집필"

    김정배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박종근 기자28일 교육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중학교 역사 교과서, 고등학교 한국사 국정교과서 현장 검토본을 공개했다. 오늘부터 다음달 23일까지 내용

    중앙일보

    2016.11.28 19:20

  • 역사교과서-한국사 교과서 58명 집필 명단

    교육부는 중학교 역사교과서 집필지 31명과 고교 한국사 교과서 27명의 명단을 28일 발표했다. 다음은 단원별 집필 명단이다.  ■역사교과서-한국사 교과서 58명 집필 명단 「신형

    중앙일보

    2016.11.28 13:20

  • 국정교과서 집필진 참여 교수 중 절반이 '김정배 사단'

    지난 1년간 ‘밀실집필’ 논란을 빚어왔던 한국사 국정교과서 집필진 31명의 명단이 28일 처음 공개됐다. 31명 모두 중학교 역사1·2 집필에 참여했고 이중 27명만 고등학교 한국

    중앙일보

    2016.11.28 13:20

  • 국정교과서 "대한민국 국가수립", 이승만·박정희 '독재' 명시

     국정 역사교과서는 1948년을 “대한민국 국가수립”으로 명시했다. 박정희 대통령에 관해서는 ‘독재 체제’라고 표현했지만 경제성장의 부정적 면을 간단히 언급한 대신 긍정적 면을 자

    중앙일보

    2016.11.28 13:20

  • 보수단체, 사법부 좌편향 판결과 민변 활동 모니터링 위한 ‘사법정의 감시센터’ 출범

    보수단체, 사법부 좌편향 판결과 민변 활동 모니터링 위한 ‘사법정의 감시센터’ 출범

    헌법적 가치와 국가 정체성 수호를 목표로 출범한 ‘사법정의실현 국민감시센터’가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창립 세미나 및 1차 감시 보고회를 개최했다.사법부의 ‘좌편향’ 판결과

    중앙일보

    2016.07.05 16:30

  • [시론] 자유민주는 스스로 방어해야

    [시론] 자유민주는 스스로 방어해야

    최대권서울대 명예교수(헌법학) 대한민국은 곧 자유민주체제라 할 만큼 자유민주체제는 대한민국 정체성의 핵(核)이다. 산업화와 함께 자랑스럽게 이룩한 자유민주체제는 대한민국 수립 이래

    중앙일보

    2014.02.14 00:01

  •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반대 성명 참가 학자들

    강경근(숭실대 법학과 교수), 강경태(신라대 교수), 강귀순(부산남중 교사), 강근형(제주대 교수), 강대기(숭실대 정보사회학 교수), 강명헌(단국대 경제무역학부 교수), 강석주(

    중앙일보

    2006.09.12 13:13

  • [미디어클로즈업] 언론법학회 신문법 특별 토론회

    '신문법'(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 보장에 관한 법률)과 '언론중재법'(언론 중재 및 피해 구제 등에 관한 법률)은 언론의 자유를 신장할 법안인가, 아니면 언론의 자유를 구속할 족

    중앙일보

    2006.06.08 04:58

  • [신행정수도특별법 위헌] '국어는 한국어'가 관습헌법 해당

    헌법재판소가 지난 21일 내린 신행정수도특별법의 위헌 결정은 불문법(不文法)의 일종인 관습헌법의 개념을 근거로 일반 법률의 위헌 여부를 가린 첫 사례다. 헌재는 관습헌법 연구가 활

    중앙일보

    2004.10.22 19:01

  • "특별행정도시로 축소해야"

    수도 이전 논란으로 헌법소원까지 제기된 뒤 본격적으로 열린 첫 찬반 토론회에서 단순한 공방을 넘어 대안과 절충점 찾기가 시도됐다. (*오른쪽 동영상은 신혜경 중앙일보 경제전문기자가

    중앙일보

    2004.07.28 19:12

  • [중앙일보 주최 수도 이전 대토론회] 제2주제 - 핫 이슈

    제2 주제(국민적 합의)에 대한 오후 토론회에선 수도 이전 결정과정에 국민적 합의를 제대로 거쳤는지를 놓고 논란이 벌어졌다. 손성태 중앙건설기술심의위원은 "우리나라는 대의민주주의

    중앙일보

    2004.07.28 18:47

  • [중앙일보 주최 수도 이전 대토론회] 제2주제 - 국민적 합의

    ▶ 신행정수도 건설 추진 자문위원들이 28일 충남 연기군 금남초등학교에서 후보지역 지형을 보고 있다. 대전=양광삼 기자 ▶ 사회=김영희 중앙일보 대기자 ▶발제 최병선 경원대 도시계

    중앙일보

    2004.07.28 18:46

  • [사고] '수도 이전 대토론회' 엽니다

    새 수도 건설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그 본질과 핵심을 벗어나 정쟁(政爭)과 대립 구도로 번지면서 우리 사회의 또 다른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앙일보는 수도 이전

    중앙일보

    2004.07.25 18:42

  • [사고] '수도 이전 대토론회' 엽니다

    새 수도 건설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그 본질과 핵심을 벗어나 정쟁(政爭)과 대립구도로 번지면서 우리 사회의 또 다른 갈등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저희 중앙일보도 이와 같은 국가

    중앙일보

    2004.07.20 18:36

  • 사랑방

    ◇학술대회=고려대 국제대학원(원장 황의각)은 오는 11일부터 이틀간 교내 국제관에서 '신(新) 세계 안보질서 및 경제 지배구조에 관한 동아시아적 시각'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

    중앙일보

    2002.11.09 00:00

  • 서울대 노현모·권태준 교수 등 17명 퇴임

    서울대(총장 鄭雲燦)는 오는 30일 교내 문화관에서 한국인 특유의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한 자연과학대 노현모(盧賢模·65·(左))교수와 국내 첫 환경대학원의 설립에 기여한 권

    중앙일보

    2002.08.27 00:00

  • [성명발표 참가 원로 명단]

    성숙한 사회 가꾸기 모임 '국민들에게 드리는 말씀' 성명 발표 명단-대표 - 김태길 (서울대 명예교수.학술원 부회장) , 강영훈 (전 국무총리.전 도산기념사업회 회장) , 김용준

    중앙일보

    2001.08.14 20:38

  • 사법개혁추진委 위원장에 김영준 前감사원장 내정

    정부는 29일 대통령 직속 사법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에 김영준 (金永駿.71) 전 감사원장을 내정했다. 정부는 다음 주중 정식 임명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金위원장 내정자는 경남 진해

    중앙일보

    1999.04.30 00:00

  • [권영빈 칼럼]'서울대 고시학원'

    서울대 구내 한 건물 앞, 오후부터 학생들의 줄서기가 시작된다. 책가방으로 줄을 대신하고 벤치에 누워 잠을 자는 학생도 있고 몇몇이 모여선 빈 우유팩으로 제기차기를 하고 라면을 끓

    중앙일보

    1998.05.22 00:00

  • [모임]한국입법학회 창립식 개최

    입법기능 활성화를 위한 학자.전문가들의 모임인 한국입법학회 (회장 崔大權.서울대법대 교수) 창립식이 4일 오후6시30분 서울관악구신림동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열렸다. 국회의 지위

    중앙일보

    1998.02.05 00:00

  • 캠퍼스 고시열병 확산…거대한 수험학원 전락

    교육개혁이 대학가의 비뚤어진 고시 열풍을 부추기고 있다. 교육개혁으로 많은 대학이 복수전공제를 확대하고 전공 이수 학점을 줄이자 고시 과목을 수강할 기회가 많아진 학생들이 고시에

    중앙일보

    1997.11.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