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독서 칼럼] 누가 더 불량한가

    전공보다 부전공으로 더 유명한 사람들이 있다. 그중의 하나로 노엄 촘스키가 생각나는데, 내 무지의 폭로가 아니라면 그에게는 대단한 결례가 되리라. 그의 전공 '생성 언어학'은 그

    중앙일보

    2001.12.01 00:00

  • '9·11테러' 논쟁 한국 지식사회에 불붙어

    국내 철학자들의 토론 사이트인 '소공동사람들(http://dumdum.pe.kr)'에서 최근 흥미있는 토론이 전개됐다. 주제는 '9.11테러를 계기로 본 미국은 무엇인가'. 9월

    중앙일보

    2001.11.29 00:00

  • 국가는 대학을 옥죄어왔다

    2차대전 이후 냉전시대가 시작되면서 미국 사회는 '매카시즘'이라는 혹독한 시련을 겪는다. 무차별적 공산주의자 사냥에 동의하지 않은 수많은 지식인들은 자리에서 쫓겨나야 했다. 그 때

    중앙일보

    2001.11.24 08:39

  • [책꽂이] '보수 혁명' 外

    ◇ 보수 혁명(전진성 지음, 책세상, 4천9백원)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정권 초기에 독일 일부 지식인들이 "역사는 진보하지 않으며, 따라서 인류에게 장밋빛 미래는 없다"고 주장했

    중앙일보

    2001.11.24 08:35

  • [데스크 쪽지] 9·11테러 용서받을 수 없지만

    이번 주 프런트 면과 둘째 면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도전받는 오리엔탈리즘』의 저자 에드워드 사이드와 인문.사회과학면의 머리기사로 올린 『냉전과 대학』의 공동저자 노엄 촘스키

    중앙일보

    2001.11.24 08:13

  • 이슬람을 폄하하는 美지식사회 '난타'

    "볼품없는 사상가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 충돌론은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단순하고 호전적이다. 문명교류를 부정하고, 서구와 이슬람이라는 거대한 실체를 무모하게 단정지었다. 그 결과 착한

    중앙일보

    2001.11.24 08:10

  • [인문/사회과학] '냉전과 대학'

    2차대전 이후 냉전시대가 시작되면서 미국 사회는 '매카시즘'이라는 혹독한 시련을 겪는다. 무차별적 공산주의자 사냥에 동의하지 않은 수많은 지식인들은 자리에서 쫓겨나야 했다. 그

    중앙일보

    2001.11.24 00:00

  • [책꽂이] '보수 혁명' 外

    ◇ 보수 혁명(전진성 지음, 책세상, 4천9백원)=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정권 초기에 독일 일부 지식인들이 "역사는 진보하지 않으며, 따라서 인류에게 장밋빛 미래는 없다"고 주장했던

    중앙일보

    2001.11.24 00:00

  • [데스크 쪽지] 9·11테러 용서받을 수 없지만

    이번 주 프런트 면과 둘째 면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도전받는 오리엔탈리즘』의 저자 에드워드 사이드와 인문.사회과학면의 머리기사로 올린 『냉전과 대학』의 공동저자 노엄 촘스키

    중앙일보

    2001.11.24 00:00

  • [행복한 책읽기] '도전받는 오리엔탈리즘'

    "볼품없는 사상가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 충돌론은 우스꽝스러울 정도로 단순하고 호전적이다. 문명교류를 부정하고, 서구와 이슬람이라는 거대한 실체를 무모하게 단정지었다. 그 결과 착한

    중앙일보

    2001.11.24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밀레의 스승' 라캉

    자크 라캉(1901~81)은 레비 스트로스와 함께 프랑스 사상의 비주류에 속하면서 가장 급진적인 사유를 생산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라캉은 프랑스 지성의 집합처인 고등사범학교로

    중앙일보

    2001.11.15 00:00

  • [말말말] "세상 어지럽히는 사람이 JP입니까" 外

    ▷"밥 한끼 같이 먹으면 계보인가."-민주당 박병석 의원, 당내 대선주자들이 세 과시를 위해 별 친분도 없는 의원들까지 자신의 계보라고 언론에 흘린다며. ▷"준 돈에 관해 묻지도

    중앙일보

    2001.11.13 00:00

  • [취재일기] 美 지식인의 당당한 소신

    9.11 테러 이후 미국인들의 가슴 속에 확고히 자리잡은 단어를 꼽으라면 단연 '애국심'일 것이다. 성조기가 불티나게 팔린다거나 엘비스 프레슬리가 24년 전 불렀던 '아름다운 미국

    중앙일보

    2001.11.13 00:00

  • [인문/사회과학] '불량국가'

    미국의 비판적 지성으로 첫 손 꼽히는 촘스키(MIT대 ·72)교수가 미국을 '불량국가' 의 명단에 등재시켰다. 촘스키 교수가 지난해 펴낸 신간 '불량국가' 에서 미국은 세계경찰이란

    중앙일보

    2001.10.20 00:00

  • 힘 앞세워 국제문제 개입 미국이야말로 '불량국가'

    미국의 비판적 지성으로 첫 손 꼽히는 촘스키(MIT대 ·72)교수가 미국을 '불량국가' 의 명단에 등재시켰다. 촘스키 교수가 지난해 펴낸 신간 '불량국가' 에서 미국은 세계경찰이란

    중앙일보

    2001.10.19 17:19

  • 미국 vs 중동 갈등 다각도로 바라보기

    미국에서 발생한 테러사건에 대해 CNN 등 TV화면에 보이는 팔레스타인 지역의 분위기는 거의 '축제' 다. 뉴욕에서만 1만여명의 희생자를 낸 이 참사에 보내는 저들의 환호는 어떻게

    중앙일보

    2001.09.15 08:51

  • 아랍·이스라엘·미국 삼각관계 파헤친 책들 출간

    미국에서 발생한 테러사건에 대해 CNN 등 TV화면에 보이는 팔레스타인 지역의 분위기는 거의 '축제' 다. 뉴욕에서만 1만여명의 희생자를 낸 이 참사에 보내는 저들의 환호는 어떻게

    중앙일보

    2001.09.15 00:00

  • 중동 분쟁의 핵심은 '미국의 야심'에 있다

    당대 최고 비판적 지식인으로 불리는 노암 촘스키가 중동 문제, 특히 일간지 국제면을 수시로 채우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문제에 대해 예의 그 날카로운 시각을 들이댄 책이다. 『숙

    중앙일보

    2001.07.28 11:07

  • [신간 리뷰] '숙명의 트라이앵글'

    당대 최고 비판적 지식인으로 불리는 노암 촘스키가 중동 문제, 특히 일간지 국제면을 수시로 채우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문제에 대해 예의 그 날카로운 시각을 들이댄 책이다. 『숙

    중앙일보

    2001.07.28 00:00

  • 비틀스 음악에 숨은 과학을 찾아라

    "가끔 한국의 일류 인사를 만나보면 나는 그들의 상식 부족 때문에 민망해 거북스러울 때가 많다. 1990년 유명한 문화정책자 한분은 현대미술가 앤디 워홀의 이름을 몰랐고, 같은 해

    중앙일보

    2001.07.14 08:11

  • '비틀스 음악에 과학이?'…신간 '과학콘서트'

    "가끔 한국의 일류 인사를 만나보면 나는 그들의 상식 부족 때문에 민망해 거북스러울 때가 많다. 1990년 유명한 문화정책자 한분은 현대미술가 앤디 워홀의 이름을 몰랐고, 같은 해

    중앙일보

    2001.07.14 00:00

  • '비틀스 음악에 과학이?'…신간 '과학콘서트'

    "가끔 한국의 일류 인사를 만나보면 나는 그들의 상식 부족 때문에 민망해 거북스러울 때가 많다. 1990년 유명한 문화정책자 한분은 현대미술가 앤디 워홀의 이름을 몰랐고, 같은 해

    중앙일보

    2001.07.13 17:31

  • [접속 Q채널] 살인계약

    □…살인계약(CH25.낮 12시) =마빈 J 촘스키 감독작. 딸을 데리고 사는 이혼녀 샤샤가 꽃배달부를 가장한 범인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 사건을 맡은 젠슨 형사는 전남편인 에카드

    중앙일보

    2001.06.12 07:45

  • [접속 Q채널] 살인계약

    □…살인계약(CH25.낮 12시)=마빈 J 촘스키 감독작. 딸을 데리고 사는 이혼녀 샤샤가 꽃배달부를 가장한 범인에 의해 살해당했다. 이 사건을 맡은 젠슨 형사는 전남편인 에카드

    중앙일보

    2001.06.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