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경주관광종합개발 계획

    정부는 10일 신라의 천년고도 경주를 국제적인 관광도시로 꾸미기 위한 방대한 종합개발 10개년 계획안을 확정 발표했다. 금년부터 81년까지 2백88억원을 투입, 총 3백여평방㎞에

    중앙일보

    1972.03.11 00:00

  • 사육신묘·종친부 등 6점|지방문화재로 지정 검토

    서울시는 21일 문화재로 지정도 받지 못하고 버려져 있는 사육신묘·종친부·정업원·성제묘, 낙성대, 용봉정 등 6점에 대해 지방문화재로 지정키 위해 서울시 지방문화재 위원회로 하여금

    중앙일보

    1972.02.21 00:00

  • 문화재 대폭 조수 계획

    윤위영 문공부장관은 13일 72년부터 총1백28억원을 투입, 전국의 1천8백31건의 문화재를 보수·개발하는 문화재 보존관리 5개년 계획을 연내에 확정시킨다고 발표했다. 정부수립 후

    중앙일보

    1971.11.13 00:00

  • 자연의 실체-울릉도

    이번 한국자연보존연구회가 실시한 울릉도 학술조사는 문화공보부의 위촉에 의한 것이므로 천연기념물의 보존실태를 파악하여 과학적인 보존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천연자원의 개발방도를 강구하려

    중앙일보

    1971.08.23 00:00

  • 사라지는 「울릉도의 자연」

    동해 복판에 자리한 울릉도의 천연기념물들을 포함한 자연자원의 보존은 국토·자연의 보존에서 뿐 아니라 관광개발을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다. 한국자연보존연구회의 「울릉도종합학술조사단」(

    중앙일보

    1971.08.17 00:00

  • 관리인이 부순 용암동굴

    【제주】북제주군 한림읍 협재리 일대에 있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물다는 용암 석회굴 관리를 맡고있는 한림읍장(현여경)이 이 동굴 속의 종유석을 따다가 비싼 값에 팔고 정원석으로도 쓰

    중앙일보

    1970.08.18 00:00

  • 천연 유산…명승||국가 지정에 즈음하여|이은상

    한국은 아름다운 금수강산이요, 지구의 공원이다. 이 강산이야말로 고금을 통하여 우리 민족의 귀중한 재산이요, 또 우리 민족은 그것을 소중히 여기며 감상해 왔다. 그러나 근래 이 아

    중앙일보

    1970.07.30 00:00

  • 6·25때 사라진 천연기념물 제11호 크낙새 20년만에 광릉에

    6·25동란을 전후해서 우리나라에서 자취를 감추었던 천연기념물 제11호 크낙새가 경기도 양주군 광릉 임업시험장의 숲속에서 20년만에 되찾아와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이같은

    중앙일보

    1970.06.20 00:00

  • 파손되는 천연기념물「고씨굴」

    【정선】천연기념물 219호인 영월군하동면진별리의 고씨굴(동굴)이 군당국의 관리소홀로 주민들이 마구 출입, 내부가 크게 손상되어 가고 있다. 고씨굴은 지난 66년4월 한국동굴협회가

    중앙일보

    1970.03.25 00:00

  • 1억년된 새 발자국 화석

    1억만년전 새의 발자국화석이 서울대문리대 김봉균교수일행에 의해 경남함안군칠원면용산리채석장에서 발견됐다. 23일 문화재위원회는 이것이 기록상 발견된 화석 치고 가장 오래되고 또 세계

    중앙일보

    1969.12.24 00:00

  • 『특종』에 들뜬 사수도|동식물 조사단 놀라운 수확

    제주도 가까운 남해의 외딴 섬인 추자군도의 동식물 조사단은 우리나라에서 아직 채집된 일없는 식물2종과 자취를 감춘것으로 알았던 2종의 새의 무리를 찾아냈다. 문화재관리국이 파견한

    중앙일보

    1969.08.16 00:00

  • (206)소금강의 6월|강산재발견 1차 명승지 조사단을 따라

    우러나라 금수강산의 가장 아름다운 지역을 가려내는 병승지 종합 조사단이 처음으로 발족, 지난 1일부터 12일간 동해안의 강릉일대를 답사했다. 시인이며 문화재의원인 이은상씨를 단장으

    중앙일보

    1969.06.14 00:00

  • (205) 백로 생태

    강원도양양군포매리에 2천마리나 되는 백로와 왜가리의 대집단이 서식하고 있다는 기쁜소식을 들었다. 사실이라면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천연기념물로 지

    중앙일보

    1969.06.07 00:00

  • 초당·고씨 굴을 천연 기념물로

    문화재 관리위원회 제3분과 위원회 (천연기념물)는 한국동굴협회의 지정신청을 받고 26일 하오 강원도삼척군근덕면 소재 초당굴과 영월군하동면 소재 고씨 굴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 6

    중앙일보

    1969.05.27 00:00

  • (201)천년수

    높이35m, 밑동의 둘레가 11m, 나이 1천년을 해아리는 은행나무 고목이다. 그 나무의 아름드리 가지가 땅에 내려앉아 물구나무선채 뿌리를 내리고 또 새줄기를 돋아내 키우고있다.

    중앙일보

    1969.05.13 00:00

  • (182)고씨굴 | 첫 관광지 지정과 한국 동굴의 어제·오늘

    여태까지 신비의 세계로만 알려진 채 일부 동굴 관계 인사들에 의해서만 탐험되어 오던 동굴이 당국의 인식으로 이제 「베일」을 벗고 많은 사람들의 관람과 국가 내지는 지역사회의 합목적

    중앙일보

    1969.01.18 00:00

  • 신종후보 5종발견

    【제주=김기문 신상범 김택현기자】지난달26일부터 5일까지 제주도전역의 동굴을조사한 한국동굴협회 제주도동굴조사단 (단장강영선박사)은지금까지 6천8백30 「미터」로알려진 만장굴(번좌면

    중앙일보

    1968.12.06 00:00

  • 제주도 동굴양사 학술조사단 출발

    제주도전역의 동굴조사를 위한 한국동굴협회학술조가단 일행18명이 26일하오 항공편으로 출발했다. 문화재관리국의 재정보조에 의한 이조사단은 15일 동안 만장굴(6383m)을 미롯한 수

    중앙일보

    1968.11.26 00:00

  • 허울뿐인 연중행사|문화재 애호

    10월엔 으례 연중행사로 문화재 애호주간을 두고 새삼 민족의 얼을 되새기고 그것을 길이 간수할 것을 다짐한다. 금년엔 25∼31일 1주일간. 문화재관리국은 판에 박은 행사로 현수막

    중앙일보

    1968.10.29 00:00

  • 동굴협회 표창

    서울시교위는 26일 상오 한국동굴협회를 67연도 문화재보존·보호공로자로 선정, 표창했다. 이날 상오10시부터 교육감실에서 열린 표창식에서 강영태씨와 한국동굴협회에 각각 표창장, 배

    중앙일보

    1967.12.26 00:00

  • 한국 동굴학계에 큰 성과|초당본굴 조사의 결산

    천연기념물로의 지정가치와 동양 최대의 동굴을 탄생시키기 위한 작업을 주목적으로 지난16일부터 9일간 문화재관리국과 한국동굴협회가 공동으로 조사 탐험대를 파견한 바 있는 강원도 삼척

    중앙일보

    1967.05.27 00:00

  • 신비의 땅속 75㎞

    【삼척 근덕면 초당굴 조사본부=김기문·김정찬·정연복 기자】제2차 여산대 초당굴 학술조사단은 입굴을 시각한지 2일째인 18일 하오「가로아충」(화석벌레)과 수서 동물을 채집하는 등 많

    중앙일보

    1967.05.19 00:00

  • 황쏘가리 한란 천연기념물 지정

    멸종 위기에 빠진 한강의 「황쏘가리」와 제주도 「한란」이 천연 기념물로 지정됐다. 11일 문화재 제3분과위원회는 「황쏘가리」가 우리나라 특유의 민물고기요, 한라산에 야생하는 「한란

    중앙일보

    1967.05.18 00:00

  • 신종셋·동굴김도 발견|총3백만평의 동양 최대규모

    【삼척=김기문·김정찬·정연복기자】제2차 초당굴(삼척군 근덕면 하맹방리 초당곡) 학술조사대 일행 18명은 17일 하오 정찰조사를 개시, 진성동물·민물동물 등 신종 3종을 새로 발견하

    중앙일보

    1967.05.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