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성남시, AI로 청소년역량 키우는 분당야탑청소년수련관 개관

    성남시, AI로 청소년역량 키우는 분당야탑청소년수련관 개관

    성남시는 4차산업혁명 맞춤형 체험과 학습이 가능한 미래학습공간을 탑재한 분당야탑청소년수련관을 오는 26일 개관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관하는 분당야탑청소년수련관은 약 400억

    중앙일보

    2021.05.25 09:00

  • [사진] 인성교육대상 시상식

    [사진] 인성교육대상 시상식

    인성교육대상 시상식 중앙일보와 교육부·여성가족부가 주최하고 한국교육개발원·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공동 주관하는 ‘제8회 대한민국 인성교육대상’ 시상식이 18일 서울 종로구 AW컨벤

    중앙일보

    2020.11.19 00:02

  • 인성교육대상에 충남 내산초교, 이은숙 대전 둔원중 교사

    인성교육대상에 충남 내산초교, 이은숙 대전 둔원중 교사

    제8회 대한민국 인성교육대상 시상식이 18일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왼쪽 세번째부터 유재봉 충남 내산초 교장(단체부문 사회부총리상), 진미석 성남시청소년재

    중앙일보

    2020.11.18 16:44

  • [issue&] 교육에서 학습으로 … 전환시대의 청소년 진로교육

    [issue&] 교육에서 학습으로 … 전환시대의 청소년 진로교육

    진미석 서울시립대 초빙교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선임연구위원 ‘방탄소년단 미국 빌보드앨범차트 1위’ ‘5억 뷰를 넘어가는 방탄의 유튜브’. 엔터테인먼트 분야뿐만 아니라 문화·교육계까지

    중앙일보

    2018.10.31 00:02

  • [열려라 공부+] 4차 산업혁명 시대 진로교육, 청소년 롤모델인 멘토의 몫

    [열려라 공부+] 4차 산업혁명 시대 진로교육, 청소년 롤모델인 멘토의 몫

    산업화 시대의 직업세계는 종사자가 많고 직업의 종류는 적은 소품종 다량의 구조였다. 이와 반대로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다품종 소량을 추구한다. 1970년대 5000~6000여 개

    중앙일보

    2018.03.21 00:02

  • [비즈 칼럼] 일자리 낳는 창업교육에 대학 미래 있다

    [비즈 칼럼] 일자리 낳는 창업교육에 대학 미래 있다

    진미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대학 교육의 팽창과 고용 없는 성장으로 2000년대 이후 한국에서 대졸 청년층의 취업난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중앙일보

    2017.10.23 01:00

  • [교육 소식] 교육격차 좁히는 온라인 진로멘토링 

    [교육 소식] 교육격차 좁히는 온라인 진로멘토링 

    과학기술과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 세계화 등으로 직업 세계도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그동안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직업들이 생기고 기존 직업의 성격이 변화하거나 직업 자체가 없

    중앙일보

    2016.11.30 00:01

  • [인사] 기획재정부 外

    ◆기획재정부▶국제금융정책국장 송인창 ◆특허청▶특허심판원 심판관 전기억 ◆인천시▶인천경제자유구역청 차장 직대 조동암▶안전행정국장 강상석▶건설교통국장 이일희 ◆대구시▶홍보담당관 이길호

    중앙일보

    2014.11.04 00:10

  • [인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外

    ◆한국직업능력개발원▶신성장인재연구실장 진미석▶인적자원패널·통계센터 소장 송창용▶HRST 공동연구센터 소장 황규희▶교육·노동연계연구실장 나영선▶대학특성화지원센터 소장 박동열▶직업교육

    중앙일보

    2008.12.06 00:16

  • [인사] 행정자치부 外

    ◆ 행정자치부▶장관정책보좌관 김성진 임영상 ◆ 산업자원부▶자원정책실장 김신종▶전기위원회 사무국장 윤상직▶산업정책과장 강남훈▶산업기술정책과장 이관섭▶무역위원회 조사총괄과장 심동섭 ◆

    중앙일보

    2006.04.17 04:03

  • [집중 토론] 이공계 기피 해법없나

    *** 참석자 ▶任敬淳 포항공대 교수.과학문화연구센터장 ▶鄭奉根 교육인적자원부 인적자원정책국장 ▶陳美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韓民九 서울대 공대 학장 사회=都成鎭 논설위원

    중앙일보

    2003.09.30 19:37

  • ② 설곳 없는 국내파 석·박사들:대학도 기업도 "국내파 경쟁력 없어"

    서울대 경제학부는 교수 30명 중 29명이 외국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같은 학교 화학부는 29명의 교수 모두가 외국박사 출신이며, 정치학과(11명)·외교학과(8)·언론정보학과(7

    중앙일보

    2002.11.14 00:00

  • 박사학위 여자 37%·남자 67% '취업'

    1998년부터 2000년까지 3년간 박사학위를 딴 여성 가운데 37.7%만이 정규직에 취업했다. 반면 남자박사의 경우엔 67.8%가 정규직에 취업했다. 인문계 여자 박사의 미취업은

    중앙일보

    2001.09.13 00:00

  • 박사학위 여자 37%·남자 67% '취업'

    1998년부터 2000년까지 3년간 박사학위를 딴 여성 가운데 37.7%만이 정규직에 취업했다. 반면 남자박사의 경우엔 67.8%가 정규직에 취업했다. 인문계 여자 박사의 미취업은

    중앙일보

    2001.09.12 15:33

  • [인사] 농림부 外

    ◇ 농림부▶행정관리담당관 강명구 ◇ 산업자원부 ▶중소기업청 이기우▶특허청 김성회 ◇ 철도청 ▶부산철도차량정비창 차량기술부장 나윤용 ▶홍보담당관 배종규▶감사〃 정원경▶안전과장 김원각

    중앙일보

    2001.01.06 00:00